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57건 검색되었습니다.
백두산 화산 大폭발 비밀… 블랙박스 浮石 은 알고있다
과학동아
l
2016.12.02
뜻”이라며 “이런 작용이 백두산의 폭발력을 키웠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연구진
이 채집한 암석 중엔 지각을 30km 이상 시추해야 만날 수 있는 ‘맨틀’ 조각도 있었다.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터지면서 주변 암석을 덩어리째 끌고 올라온 ‘포획암’ 덕분이다. 이 암석은 백두산의 심부를 ... ...
핵폐기물 반감기 줄인다… 새로운 `빔 물리 이론`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16.12.02
UNIST 제공 전자, 양성자 등 원자 속 소립자를 빠르게 가속해 다양한 기초과학 실험을 할 수 있는 ‘가속기’의 출력을 한층 더 높이는 방법이 개발됐다. 정모세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자연과학부 교수(사진)팀은 미국 프린스턴 플라스마 물리연구소(PPPL), 독일 중이온 가속기 연구소(GSI)와 공동으로 ... ...
불치병 ‘파킨슨병’ 치료 가능성 국내
연구진
이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1
알려졌는데, PAK4 단백질이 도파민 신경세포에도 존재하는 것을 찾아낸 것이다.
연구진
은 동물 실험을 통해 파킨슨병 치료 가능성도 확인했다. 실험쥐의 두뇌 중 한쪽에만 도파민 신경세포를 소실시킨 후 도파민 호르몬 분비를 자극하는 약물을 투여했다. 신경을 흥분시키는 도파민이 쥐의 정상인 ... ...
유전병 피하는 ‘세 부모 아이’ 시술, 성공률 높이는 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1
할 경우 성공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국내에선 현재 서울아산병원
연구진
이 세 부모 아이 연구를 준비 중이다. 서울아산병원에는 해마다 15명 정도의 환자가 미토콘드리아 유전병으로 병원을 찾고 있다. 논문의 1저자인 강 연구원은 “이번 연구로 안전성이 확보된다면 ... ...
체르노빌에서 살아남은 ’효모’에 숨은 비밀
2016.11.30
후 유령도시가 된 우크라이나 프리피야트의 모습 - Diana Markosian/위키미디어 제공 국내
연구진
이 방사선에 노출돼도 끄떡없는 미생물의 생존 비밀을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를 이용하면 발효용 효모 등을 활용해 방사성 폐기물 처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임상용 한국원자력연구원 ... ...
지진 예보 가능해질까… 지하수-지진 상관관계 첫 규명
2016.11.30
구마모토 지진 진앙 근처에서 지하수를 퍼 올리고 있다. - 유지 사노 교수 제공 일본
연구진
이 지하수의 헬륨 농도와 지진의 상관관계를 처음으로 규명했다. 지금까지 불가능했던 ‘지진예보’ 가 실제로 가능해질지 기대된다. 사노 유지 일본 도쿄대 대기해양연구소 교수팀이 지하수의 헬륨 ... ...
1000번 이상 접었다 펼 수 있는 트랜지스터 나왔다
2016.11.30
표면이 갈라지거나 주름이 생겨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나타났다. GIST
연구진
이 새롭게 개발한 유연 트랜지스터는 1000회 이상 접었다가 펴도 소자 성능이 거의 그대로 유지된다. 이 트랜지스터는 거의 완전한 각도로 접었을 때(곡률반경 1.5㎜) 생기는 표면 주름이 다시 펼쳤을 때는 ... ...
신앙에 빠진 사람 뇌 속에선 ‘보상회로’가 움직인다
2016.11.30
같은 방식으로 반응할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연구진
이 2014년부터 진행 중인 ‘종교와 뇌 프로젝트(Religious Brain Project)’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 ...
물속에 녹아 있는 초미세 오염물질 제거방법 찾았다
2016.11.29
제공 국내
연구진
이 물에 녹아있는 오염물질도 깨끗하게 흡수할 수 있는 정화 기술을 개발했다. 농약, 염료 등 나노미터(㎚, 1㎚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미세 분자까지 잡아낼 수 있어 상수도 정화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KAIST 제공 자패르 야부즈 KAIST EEWS대학원 교수(사진 ... ...
원전 사고현장 투입할 ‘무인 로봇’ 나왔다
2016.11.29
안전 지역을 즉시 확인할 수 있어 방사능 오염 지도를 재빠르게 완성할 수 있다.
연구진
이 개발한 로봇 '램'의 운용 개념도.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원자력연은 원전 로봇 개발에 그치지 않고 언제든지 로봇을 투입 운영할 수 있도록 조종사를 훈련하는 ‘한국형 원전 사고 대응 조직’도 준비 ... ...
이전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