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4,593건 검색되었습니다.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위험한 일을 대신할 기계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509
하고. 공기의 흐름을 읽는 겁니다. 비행체도 이런 새의 움직임을 적용시킨다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이민지: 마지막으로 입시를 준비 중인 학생들에게 기계항공공학부 자랑 한 마디만 해주세요.김현진: 기계항공공학부는 모든 공학의 기본입니다. 공학 분야에서 어느 진로를 선택하든 ... ...
발걸음이 가벼워지는 특수 부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
달아서 걸을 때 필요한 힘을 나눈 것이랍니다. 실험 결과 걸음을 걸을 때 사용하는 대사
에너지
가 약 7.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어요.논문의 공동저자인 미국 노스캐롤리나대 그레고리 사위키 교수는 “앞으로 스키 부츠보다도 싼 가격으로 만들 수 있게 노력할 것”이라며 특수 부츠 기술을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
수학동아
l
201509
자기
에너지
와 정전
에너지
, 기계 시스템에서 운동
에너지
와 위치
에너지
사이에서
에너지
교환이 일어나는 것처럼 디지털 중독에서도 소망계수와 감수성계수 사이에서 심리적인 동요가 일어난다고 본 것이다.배 교수는 이 모형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해 중독이 되기 전과 후의 심리 변화를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
과학동아
l
201508
주장이 있다. 인간이 수렵채취 시대부터 몸 안에
에너지
를 더 많이 저장하기 위해서
에너지
원이 되는 기름진 맛(지방)과 달콤한 맛(탄수화물)에 쾌락을 느끼도록 진화했다는 것. 배가 고프면 맛에 관계없이 칼로리가 높은 음식을 찾게 된다는 최신 연구결과도 있다. 미국 뉴욕대 의대 연구팀이 2011년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
최근 주목받고 있는 ‘광합성 전기 수확 기술’은 이렇게 분해된 전자를 빼내서 전기
에너지
로 사용하는 기술이에요.단국대학교 배성재 교수팀은 식물의 잎에서 직접 전자를 빼내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 나노미터 두께의 아주 얇은 막에 광합성을 하는 식물 엽록소 세포를 직접 넣어서 햇빛에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508
따라 들어간다. 하지만 스윙바이처럼 행성을 스쳐 지나가면서 가속도를 얻고자 할 때는
에너지
가 가장 높은 쌍곡선 궤도를 사용한다. 태양계를 넘어 외계로뉴호라이즌스 호는 얼음 조각과 소행성들이 모여 있는 ‘카이퍼 벨트’와 태양계 밖을 향해 계속 나아가고 있다. 탐사기술이 더 발달하면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
놓고 보면 굉장히 비효율적인 행동이에요. 소리를 만들 때 쓰는 운동
에너지
가 소리
에너지
로 전환되는 비율은 3%도 안 되거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개구리는 짝을 찾기 위해 생명을 걸고 노래해요. 개구리의 노래는 수컷이 암컷에게 바치는 ‘사랑의 세레나데’인 셈이에요.이번 여름, 개구리의 ... ...
[생활] 공간을 꿰뚫어 보는 눈, 공간지도
수학동아
l
201508
동시에 비교·분석해야 하므로 SW가 없다면 사실상 계산이 불가능하다.박형동 서울대
에너지
자원공학과 교수는 “공간 빅데이터를 잘 활용하면 엄청난 부가가치를 지닌 유용한 정보를 발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지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연구조교수는 “공간지도는 실제 세계를 ... ...
감정은 마음먹기에 달렸다
과학동아
l
201508
긴장은 이
에너지
를 급속도로 빨아들여 정작 해야 할 일에 쓸
에너지
가 부족해진다.
에너지
소모 외에도 작업 기억 용량을 줄여 정보 처리 과정을 지연시키기도 한다. 컴퓨터로 치면 램(RAM)의 용량을 교묘하게 빼앗는 악성코드 같다고 할까.만성적인 긴장은 우리를 무력하고 나약하게 한다. 긴장은 ... ...
피구왕 통키의 불꽃슛?
과학동아
l
201508
날아온 고
에너지
입자들이 지구의 자기장과 만나면 어떤 모습일까. 미국 뉴햄프셔대의 우주과학자 시바 카보시는 최근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함께 태양풍과 지구 자기장이 상호작용하는 현상을 시뮬레이션 해 5월 11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했다.‘켈빈-헬름홀츠파’라고 불리는 이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