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4,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과학동아 l201508
- 독일어와 일본어 용어도 자주 이용한다. 칼로리를 ‘카로리’, 코사인을 ‘코시누스’, 에너지를 ‘에네르기’, 뉴런을 ‘노이론’이라고 하는 식이다. 참고로 외래어를 소리 나는 대로 음차하는 경향은 한중일 3국 가운데 일본이 가장 심하고 중국이 가장 덜하다. 한국은 그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과학동아 l201508
- 별과 은하의 무대를 만들어낸 주인공은 우주의 시공에 스며있는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일 것이다.서호주 필바라에서 시작한 우주 여행의 마지막 순간에 우리가 만난 것은 138억 년 우주의 역사가 그려내는 아름다운 풍경이었다. 그리고 그 풍경 속에 어우러져 있는 우리의 모습이었다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07
- 바로 세포 호흡이다. 현재 지구상의 거의 모든 생명체는 산소를 이용한 세포 호흡을 통해 에너지를 얻고 있다. 시대에 따라 변한 대기의 산소 농도는 생물 진화를 좌지우지한 가장 중요한 원동력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생명이 지구의 환경을 바꿨고, 그 환경은 다시 생명의 진화에 영향을 미쳤다. ... ...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수학동아 l201507
- 여러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구나…. 앞으로는 인공번개가 아닌, 실제 번개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고 쓰레기를 처리할 날이 오겠지? 호탕하게 웃는 번개사냥꾼을 보고 이번에 특종을 잡았다는 확신이 번개처럼 다가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눈앞이 번쩍~! 번개 특종을 잡다Part 1 번개에 ... ...
-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과학동아 l201507
- 열대 지역 강수 패턴 자체를 바꿔놓는 어마어마한 사건이다. 대기 중에 엄청난 양의 열에너지가 쌓이면서 공기의 흐름을 바꿔 어떤 지역에는 큰 고기압이, 다른 지역에는 큰 저기압이 형성된다. 보통 호주 북동부, 동남아시아, 인도 지역에는 고기압이 강하게 발달해 심각한 가뭄이 생기고, ...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수학동아 l201507
- 기상 관측장비를 실은 풍선을 하늘에 띄워 대류의 유효위치에너지를 측정했다. 이 에너지와 강수량을 이용하면 번개가 칠 횟수를 예상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공식을 통해 지구의 평균 기온이 1℃ 올라갈 때마다 번개가 약 12%씩 잦아진다고 밝혔다. 또 이번 세기 말까지 지구의 평균 기온은 4℃ 가량 ...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07
- 잘했어! 내 섬에는 이 모든 것을 다 섞어서 만들 테야! 물 위에 떠 있는 곳에서 생활하고, 에너지 저장고도 만든 뒤 배처럼 움직이게 할 거야. 이 인공섬으로 전세계 바다를 돌아다니면서 해양 환경을 관찰하는 과학자가 될래. 친구들도 내가 만드는 ‘꿈의 섬’에 오고 싶지? ...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수학동아 l201507
- 가느다란 줄기가 튀어나올 때는 약 70~90°로 휜다. 루는 물질을 효율적으로 흘려보내려면 에너지를 최소로 써야 하기 때문에 이런 모양이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즉 번개 전하나 하천의 물줄기, 나무뿌리는 수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길을 택해 뻗어나가는 셈이다. “삐, 삐, 삐….” 갑자기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07
- 게임이나 3차원 홀로그래피 영상도 모두 빛으로 이뤄집니다. 스텔스 전투기나 고에너지 레이저 무기는 또 어떻고요. 다 얘기하자면 밤을 새야할 걸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뒷장으로 이동하겠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PART 2 ... ...
-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결정과학동아 l201507
- 역사상 처음으로 원전 폐로를 결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월 12일 제12차 국가에너지위원회를 열고 고리 1호기의 영구 정지를 한국수력원자력에 권고했다. 고리 1호기는 1978년 만들어진 국내 최초의 상업용 원자로로, 2007년 설계 수명 30년을 마친 뒤에도 재심사를 거쳐 연장 운영 중이었다.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