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고려대학교
고려대
고려대학
오래됨
상고
절벽
d라이브러리
"
고대
"(으)로 총 1,93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거대한 원형 돌기둥은 5000년 전 천문대!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동지에 남쪽 지평선이 북쪽 지평선보다 더 높고, 가깝게 보였습니다.연구팀은 이렇게
고대
사람들이 해와 달이 뜨고 지는 시간에 따라 돌기둥을 세운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것으로 천문 관측이 5000년전부터 이뤄졌다고 말할 수 있게 됐습니다.연구 결과는 ‘고고학 국제 학술지’ 8월 8일자 온라인 ... ...
[과학뉴스] 6세기 페스트균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당시 페스트균은 현대에 추정한 것보다 유전적으로 훨씬 다양했을 것”이라며 “
고대
게놈을 복원하는 연구를 통해 병원균의 진화와 역사적 사건을 연구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의 원인이 페스트균이라는 사실은 2014년 국제 공동연구팀이 유골 두구에서 DNA를 채취하면서 ... ...
[Photo] 공작석(Malachite) 문명을 진화시킨 초록색 보석광물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현재 에르미타주 미술관)의 한 방은 이 공작석으로 장식해 화려함의 극치를 뽐내고 있다.
고대
여성들은 눈가에 색을 내는 화장품으로 공작석을 썼고, 서양화 작가들과 한국 전통 민화 작가들도 초록색 안료로 사용했다. 특히 초록색 띠가 동심원을 이룬 형태의 경우 황소의 눈(bull’s eye)이라 해서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골고루 가해지게 돕는다. 이런 방식으로 지은 에테메난키의 높이는 90m 정도다.
고대
그리스의 역사학자 헤르도토스의 기록과 발굴 결과 모두 90m로 일치한다. 오늘날 아파트 30층 높이로, 하늘에 닿을 정도의 높이는 아니다. 에테메난키를 짓는 데 사용된 벽돌은 무려 3600만 장 이상이다. 공사 기간만 ... ...
PART 1. 파랑은 없다?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고대
이집트에서 염색 문화가 유행하면서 안료가 발달했기 때문으로 생각하고 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당시 아주 희귀했던 청금석이나 남동석, 터키옥에서 파랑을 얻었다. 그들은 자연에서 흔히 보이지 않는 이 오묘한 색깔이 마귀를 쫓는다고 믿었다. 그래서 대개 피라미드 속 장례물품에 ... ...
Intro. 더위 날리는 '움직이는 색' 파랑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옛날 사람들은 파랑에 대한 개념이 없었다. 동굴벽화에도 파란색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고대
문헌에도 ‘파랑’이라는 단어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지금은 누구에게나 시원하고 깨끗함을 느끼게 하는 파랑! 이 신비롭고 오묘한 색깔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 그리고 사람들은 언제부터 파랑을 ... ...
[지식] 지구를 향한 발칙한 상상, 지구가 둥글지 않다면?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해도 사람들은 지구가 어떤 모양인지 몰랐다. 지구가 둥글다고 최초로 생각한 사람은
고대
그리스의 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다. 그는 월식이 일어날 때 달 위로 지구 그림자가 드리워지는 모습을 보고 지구가 둥글 거라고 생각했다. 지금은 우주에서 찍은 사진을 보고 지구가 공처럼 둥글다는 사실을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다양한 가설을 놓고 첨예하게 논쟁하고 있다.천문학자들은 앞으로의 10년을
고대
하고 있다. 지난 50년간 관측 천문학이 비약적으로 발달했지만, 이런 노력을 비웃는 듯 AGN은 모습을 잘 보여주지 않았다. 너무 먼 데다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이다. 김연구원은 “2020년대 초 거대마젤란망원경(GMT)이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핵 DNA는 세포에 단 하나뿐이지만 mtDNA는 수십 개 이상이다. 자외선 등에 오랫동안 손상된
고대
유골에서는 mtDNA를 채취하는 게 유리하다. 어머니로부터만 유전되기 때문에 혈통을 추적하기도 쉽다.mtDNA는 돌연변이가 일어날 확률이 핵 DNA보다 높다.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나와 유라시아 곳곳으로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살다 간 프랑스 법관이자 아마추어 수학자다. 취미생활로 수학문제를 풀었던 페르마는
고대
그리스의 정수론학자 디오판토스가 3세기경 만든 수학문제 논문집인 ‘아리스메티카’를 즐겨 봤다. 페르마는 이 책을 통해 피타고라스와 유클리드 때부터 전해 내려온 정수론을 독학했다. 문제를 풀다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