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만"(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한국 수학자 152명이 고른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은?수학동아 l2019년 01호
- 2000년간 훨씬 빨리 발전했고, 서양은 오랫동안 숫자가 수로서 역할을 하지 못했다. 다만 이미 너무 좋은 기호가 있어 불편함이 없었던 동양은 산가지 이상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근대수학으로 넘어가는데 또 다른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이처럼 숫자와 수학의 발전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
- 안양 백영고 이정수 양 “문제는 배신하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2학년 때까지 수능에 출제되는 개념을 모두 익히겠다고 계획했기 때문이다. 그는 “다만 1년 이상의 과도한 선행 학습은 의욕을 떨어뜨려 오히려 독이 되는 것 같다”고 조언했다. 문제집은 가리지 않았다. EBS 교재부터 수능 기출문제, 일반 문제집과 모의고사까지 닥치는 대로 풀었다. 문제 양이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4차원 세계로 들어간 화가, 파블로 피카소와 큐비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차원을 표현해 냅니다. 물론 피카소가 4차원의 수학적 의미를 알았다는 흔적은 없습니다. 다만 프랑세가 4차원에 대해 말할 때, 피카소는 나름대로의 4차원을 떠올렸을 겁니다. 피카소는 사물을 다양한 각도에서 보여줄 때 숨겨진 진실을 알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피카소는 기를 쓰고 여러 ... ...
- 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공전하고 있지요. 행성의 기온은 영하 170℃로, 아쉽게도 사람이 살기엔 너무 추워요. 다만 대기가 존재할 경우, 기온은 영하 170℃보다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전혀 없진 않답니다. 이번 발견을 주도한 스페인 카탈루냐우주과학연구소 이그나시 리바스 박사는 “2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목이 긴 용각류 공룡인지, 두 발로 걷는 초식 공룡인지, 육식 공룡인지를 알 수 있다. 다만 정확히 어떤 종의 발자국인지를 알아내기는 어렵다. 이외에도 발자국만으로 공룡의 크기(골반까지의 높이), 몸통 길이, 몸무게, 걸음걸이(걷기, 뛰기, 뜀뛰기), 이동 속도, 무리 행동, 생물다양성(생태계), ... ...
- [Tech] 프로펠러 없이 하늘 난 비행기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작다. 우리가 만든 첫 번째 비행기는 당연히 사람을 싣고 나는 비행기와는 거리가 멀다. 다만 우리는 전보다 더 큰 화물을 싣고 날 수 있는 효율적인 추진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연구를 이미 진행 중에 있다. 만약 이것이 상용화된다면 처음에는 환경 감시나 통신 플랫폼 역할을 하는 고정익 드론 ... ...
- [스타쌤의 수학 공부꿀팁] 부평동중학교 김정란 선생님, 새 가족이 생기는 수학 시간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말을 하게 된 걸까? “아이들의 재능은 다 다르니, 모두 수학을 잘할 필요는 없어요. 다만 모두가 수학이라는 학문을 즐기고 좋아하기를 바라요.” 오랜 교사 생활 결과 수학에 대한 부담이 아이들에게 압박으로 이어진 경우가 많았고, 그 결과 수학에 흥미를 잃는 아이들이 많았다. 김 교사는 ... ...
- [헷갈린 과학] 흰개미가 개미가 아니라니! 흰개미 vs 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곧게 뻗은 흰개미와 달리 꺾인 ‘L’자 모양이에요. 개미도 사회성 곤충이에요. 다만 흰개미의 왕은 평생 짝짓기를 하는 반면, 생식 능력이 있는 수개미는 짝짓기를 한 뒤 생을 마감하지요. 짝짓기를 마친 암개미는 여왕개미가 돼요. 이 때문에 개미 군체에는 왕은 없고 여왕만 있어요. 또 흰개미는 ... ...
- [JOB터뷰] 한국 대표 공룡 점박이를 만들다! 한상호 감독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마무리했지요. “뉴질랜드는 원시림뿐만 아니라, 호수, 사막이 모두 공존하는 곳이에요. 다만 비가 자주 오는 것이 한 가지 단점이었지요. 그래서 매일 잠들기 전 소풍 가기 전날 아이처럼 내일은 비가 안 오길 빌기도 했답니다. 6주 동안 3000km를 이동해야 하는 고된 촬영이었어요.” 한편 개봉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널리 쓰이고 있지요. 엑스선은 투과력이 높아서 우리의 살도 뚫고 지나갈 수 있어요. 다만 밀도가 높은 금속이나 뼈는 통과하지 못하지요. 그래서 사람의 몸에 엑스선을 쏘면 사람의 뼈에 엑스선이 반사되어 돌아온답니다. 이 원리로 몸속의 뼈를 관찰할 수 있는 거예요. 밤하늘에 떠 있는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