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만"(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과학 크리에이터’가 사는 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내용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콘텐츠 주제를 정하는 것 자체에는 큰 어려움이 없습니다. 다만 구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줄 수 있도록 표현하는 방법은 항상 고민하고 있어요. 스크립트 작성에 각별히 신경 써 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은 크게 4단계로 나뉩니다.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단계는 첫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 강팀 이겨야 유리한 새로운 FIFA 랭킹 시스템수학동아 l2018년 10호
- 도입한 엘로 평점 시스템과 엘로 레이팅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점수 체계는 같습니다. 다만 초기점수가 달라 다른 결과가 나온 것뿐입니다. FIFA는 기존 FIFA 랭킹을 유지한 채로 새 랭킹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공식 1600-(FIFA랭킹-1)×4에 2018 러시아 월드컵 이전 마지막 FIFA 랭킹을 넣어 일괄적으로 각 ... ...
- 황윤섭 경희대 입학처장 - “잠재력과 가능성이 최우선 기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자기소개서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에 대한 활동 자료와 실적을 함께 제출한다. 다만 교사추천서는 받지 않는다. 2단계 특기재평가는 면접으로 진행되는데, 개별 면접을 통해 인성과 전공 적합성을 파악하며 제출 서류를 검증한다.황 입학처장은 “실기전형인 만큼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은 없다”며 “K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R&E 활동, 교사에게 도움 받는 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것이 좋습니다. 잘 모르면 다른 교사에게 섭외 관련 도움을 요청하는 것도 방법입니다.다만, 한 교사에게 너무 많은 학생이 몰리면 도와줄 수가 없어 거절당할 수도 있는 만큼 주제가 정해지면 빨리 교사를 찾아가 지도를 부탁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 이론과 내용은 사전에 조사해야학생들에게 ... ...
- [시사기획] 땅이 가라 앉는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공사를 위해 땅을 수직으로 뚫거나(가산동) 깎았다는(상도동) 것이다. 백 단장은 “다만 가산동의 경우에는 오피스텔을 짓기 위해 4면 굴착이, 상도유치원의 경우 건설 면적을 넓히기 위한 단면 굴착이 진행됐다는 차이는 있다”고 설명했다.먼저 가산동 현장을 살펴보자. 보통 오피스텔처럼 큰 ... ...
- [Issue] 뇌는 커지고, 얼굴은 작아졌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이는 전체 뇌 용량의 6~7%에 해당되는 양으로 큰 변화다. 뇌가 커지면서 머리도 커졌다. 다만 여기에는 남녀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남성의 경우 머리의 폭, 높이, 너비가 동시에 늘어난 반면, 여성은 머리의 폭과 높이는 늘어났지만 너비에는 변화가 없었다.유 교수는 “지리적, 환경적 ... ...
- 세살 기억 여든까지 간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유아기 때 형성됐던 기억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즉, 유아기 기억이 여전히 뇌에 존재하며 다만 회상이 잘 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한 교수는 “어렸을 때 기억이 뇌에 여전히 남아 있다는 증거”라며 “기억 흔적을 실험을 통해 밝혀낸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한 교수는 또 “쥐가 ... ...
- [Career] 환자 뇌파로 재활로봇 조종한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비중이 14%를 넘어서며 고령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도 재활로봇을 활발히 개발하고 있다. 다만 지금까지 재활로봇의 역할은 재활치료를 보조하거나, 기존의 치료법을 로봇으로 자동화하는 수준이었다. 김종현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재활로봇은 궁극적으로 기존 치료법과 ... ...
- Part 3. ‘대한민국 우주군’ 창설되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항법 데이터는 물론, 미국에서 제공하는 영향성 정보를 대부분 공유하고 있다. 다만 자동항법 추천경로 등 주요 정보는 미군이 단독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민간연구소 등과 협력해 이런 능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세계 최강 IT 기술을 국방에 반영할 수 있도록 민군 소통의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21세기 한국의 미래, 에너지자원공학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관심이 있다면 허 학과장이 맡고 있는 지구환경경제연구실에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다.다만 허 학과장은 에너지자원공학의 어느 분야를 전공하든 사람들과 잘 어울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장 중심의 거친 문화가 녹아 있는 산업이라 사람과 관계를 잘 맺고 사람들을 잘 관리하는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