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화력
d라이브러리
"
소화기능
"(으)로 총 566건 검색되었습니다.
4. 한국체육과학 연구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현대 스포츠에서 기록갱신은 상당 부분 스포츠과학의 성과에 의존한다. 대표선수들과 같이 바르셀로나를 향해 뛰는 한국 스포츠과학 연구의 현주소는?장대높이뛰기 선수들은 대회에 참가할 때 반드시 자신의 장대를 가지고 온다. 육상 42개 종목 가운데 자신의 장비를 쓸 수 있는 유일한 종목이 ... ...
4 속도 따라 엔진이 변신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공기저항을 최소화하는 디자인과 제트엔진과 로켓엔진을 결합한 복잡엔진, 인공위성에서 모든 항공기를 종합통제하는 위성항법장치의 개발이 현 항공기술의 단기과제다.항공기 기술을 얘기하기에 앞서 이들이 모여서 탄생되는 항공기와 이를 가능케 하는 항공산업에 대해 먼저 그 의의를 살펴보 ... ...
과학기술발전의 기틀 마련한 초창기의 원자력연구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6,70년대 활발했던 원자력연구는 이후 우리나라 과학기술을 이끌어온 원동력이 되었다. 이 연구에 직간접으로 관여했던 사람들이 우리 과학기술계를 주도해온 것만 봐도 그러하다.내가 정식으로 원자력 연구와 인연을 맺게 되었던 것은 1962년 4월 원자력원 산하 원자력연구소 소장으로 부임하면서 ... ...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소)설립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현재 한국경제가 부닥치고 있는 어려움의 원인을 기술력의 부진에서 찾는 사람이 많다.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발전은 60년대부터 시작된 경제개발계획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과기처와 KIST의 설립, 해외과학자유치, 원자력연구와 대덕연구학원도시구상 등 현재 우리과학기술의 토대는 대부분 이 시 ... ...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안면도 사태 한소과학기술교류등 6공과학기술계에 명암을 남긴 사건들을 정리해 본다.컴퓨터 보급 1백만대 돌파89년 초중고등학교 학교컴퓨터교육 실시를 계기로 개인용 컴퓨터(PC) 수요는 급속히 늘어 91년 하반기의 국내 컴퓨터 보유대수는 1백50만대를 돌파했다.PC수요가 급증한 데는 빠른 기술개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극도의 건강과민증을 갖고 있는 현대인은 누구나 한두가지씩 건강식을 하고 있다. 이것을 소홀히 하면 정말 건강을 잃게 될까?사람은 누구나 오래 살고 건강하기를 원한다. 그렇다면 과연 건강이란 무엇인가. 건강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정의가 있지만 아직도 한마디로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렵다.혹 ... ...
싹트기 시작한 천문학 연구에 찬바람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요즘 천문학자들은 모이면 한숨부터 쉰다. 천문학계의 유일한 연구기관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가 한국 표준연구소에 흡수통합될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지난 8월말 발표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능 재정립 및 운영효율화 방안'에 따르면 천문우주과학연구소는 적정규모(critical mass)미달로 평가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솔잎을 먹는 송충이와 배추잎을 먹는 배추벌레의 성격이 다르다. 하물며 만물의 영장인 인간의 경우는…우리는 상대방의 얼굴 생김새를 보고 그 사람의 성격과 운명을 알아내기도 하고 손바닥의 손금을 보고 성격과 인생을 점치기도 한다. 또 그 사람이 주로 먹는 음식의 재료와 맛에 따라 성격이 ... ...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실험적으로 증명되지 않았고 증명할 수도 없는 것은 결코 과학적 사실이 될 수 없고 단지 이론일 뿐이다.-창조론측 입장지난호 과학동아에 실린 '진화냐? 창조냐'라는 제목의 논쟁을 읽고서 진화론적 입장을 밝힌 글 가운데 '오늘날 진화는 확고부동한 사실로 인정받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분명히 ... ...
생생한 체험으로 살아있는 과학교육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관람객들이 스스로 참여해, 과학의 신비로움을 맛볼 수 있는 '살아있는' 과학박물관이 최근 홍콩에서 문을 열었다. 2만7천㎢의 면적에 약 3백억원의 돈을 들여 세워진 이 박물관은 '참여를 통한 과학교육'을 캐치프레이즈로 내걸고 있다. 특히 유아 및 학생관람자를 위해 연령별 구역을 설정하고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