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항공"(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0 노벨상] 물리학상│보이지 않는 블랙홀이 생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교수로 재직하며 거대질량 블랙홀과 은하 진화를 연구하고 있다. 2008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촉망받는 과학자에게 주는 ‘허블 펠로우십(Hubble Fellowship)’을 받았으며 2017년 한국천문학회 학술상을 받았다. ‘우종학 교수의 블랙홀 강의(2019)’ 등 책과 강연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woo@astro.snu ... ...
- [이달의 책] 뉴호라이즌스호의 돌덩이 사진이 ‘갬성’ 돋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돌덩이 사진이 ‘갬성’ 돋는 이유‘명왕성이 하트를 보내왔다’.2015년 7월 15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한 사진엔 오른쪽 아래 선명한 하트 모양이 박힌 황토색 명왕성이 있었다. 그날 즉시 언론에, 그리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온통 이 사진이 도배됐다.지구와는 멀고 먼 곳의 차갑고 ... ...
- 엉뚱하지만 엄청난 우주 연구들, NIAC로 보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하는 또 다른 미래입니다. 항공우주 분야를 꿈꾸는 청소년들이 있다면 평소에 항공우주공학의 기초가 되는 과목은 물론, 다양한 분야에 대한 관심을 가지면 좋겠습니다. 제가 새와 곤충에서 연구의 실마리를 찾았듯 말이죠 ... ...
- 과학난제 1. 로봇은 어떤 모양으로 진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오는 충격이 구조 전체로 분산되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요. 그래서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선 2012년부터 화성 탐사 로봇을 텐세그리티 구조로 만들기 위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답니다.박주홍 교수는 텐세그리티 구조의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접목시키고 있어요. ... ...
- [특집] 종이접기로 에프매스를 만들어라!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혹시 나를 알아볼 수 있겠어? 그래 나야 나! 에드바르 뭉크의 작품 ‘절규’ 속에서 절규하던 사람! 알던 것과는 모습이 좀 다르지? 글쎄 자고 일어났더니 얼굴이 종이 ... 세계종이접기창작개발원 원장), 이원표(종이접기 유튜버 네모아저씨), 조규진(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 ...
- [한페이지 뉴스] 명왕성 산꼭대기 서리는 메탄 99%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이 서리의 구체적인 조성과 생성 과정이 밝혀졌다.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 공동연구팀은 뉴호라이즌스호의 분광장치(LEISA)로 촬영한 초해상도 공간 스펙트럼 데이터를 사용해 크툴루 지역에 있는 메탄과 질소의 분포를 지도로 나타냈다. 그 결과, 크툴루 지역 ... ...
- 매월 1290억개 마스크 쓰레기, 어떻게 처리할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9 때문에 이마저도 쉽지 않게 됐다. 경제활동이 위축되고, 국가간 이동이 제한되며 항공기 등 운송수단의 움직임이 멈춰 유가가 떨어지면서 석유에서 바로 뽑아 만드는 새 플라스틱이 기존보다 저렴해졌다. 새로운 플라스틱을 구매하려는 수요는 늘고, 폐플라스틱을 구매해 재활용하려는 수요는 뚝 ... ...
- [비하인드 로켓] 태풍을 이겨낸 나로호의 마지막 도전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보통난이도2012년 8월 29일 오전 7시 40분, 나로호 3차 발사에 쓰일 1단 로켓이 항공편으로 김해국제공항에 도착했다. 하역준비, 세관검사, 통관, 하역작업 등을 거쳐 곧바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로 이송할 계획이었다.그런데 강력한 태풍 두 개가 연이어 남해안 일대를 강타했다. 제15호 태풍 ... ...
- 과학으로 즐기는 슬기로운 비대면 생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없어도 척척! 무인 사회Part4. 비대면 사회, 문제점은? ★ 도움이진우(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응용 나노 및 열공학연구실 박사과정 연구원), 유범재(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단장), 오주현(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 연구원), 김원준(한국과학기술 연구원 ... ...
- [변화1] 가상 공간에서 오감을 느낀다! 확장 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오감으로 느낀다.“앗! 차가운 음료수 캔을 만지는 것 같아요!”지난달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은 가상현실 세계에서 뜨거움과 차가움을 느낄 수 있는 웨어러블 소자, ‘전자피부’를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을 넘어선 ‘확장 현실(XR)’ 기술이지요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