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90년대 후반 KSR-III 사업부터 2002~201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책임자를 맡았다. 2014~2017년 한국
항공
우주연구원장을 맡아 2021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 개발을 이끌었다. gwcho@kari.re ... ...
[탐험대학]코로나19도 우리를 막을 수 없다! 한여름의 로켓 탐험기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탐험대학 홈페이지(expeditioncollege.co.kr)에서 확인하세요~! ● 신동윤 페리지
항공
우주 대표를 만나다! Q. 로켓을 만들 때 가장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요?로켓을 만든다는 건 마치 수많은 문제를 푸는 것과 같습니다. 문제의 양도 많지만, 풀어야 하는 문제 하나하나에 뚜렷한 정답이 없고, 푸는 ... ...
기발한 연료 3총사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자연적으로 생산되기도 한다. 네스토르 페레즈아란치비아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대
항공
우주 및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8월 메탄올을 연료로 움직이는 딱정벌레 로봇 ‘로비틀(RoBeetle)’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선보였다. doi: 10.1126/scirobotics.aba0015 연구팀은 소형 로봇일수록 에너지 ... ...
[팩트체크] 인공물과 새의 충돌, 막을 수는 없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기준을 정할 때 일부 건설업계 관계자들은 높이 날지 않는 소형 조류종은 고층건물이나
항공
기와 충돌할 가능성이 없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이 부연구위원은 “사람이 걷다가도 필요할 땐 뛰는 것처럼 소형 조류종도 필요할 경우 충분히 높이 난다”며 “전체 조류의 관점에서 위험성을 평가해야 ... ...
[한페이지 뉴스] 소행성 베누가 돌조각을 뿌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세기 말 2700분의 1의 확률로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지름 약 490m의 소행성이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2016년 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IRIS-REx)’를 보내 2018년 12월부터 베누를 근접 탐사하고 있다. 베누에서 돌조각이 떨어져 나오는 현상은 2019년 1월 처음 관측됐다. 베누는 약 4.3시간마다 ... ...
[특집] 클라우드 속에서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등에서는 이보다 몇천, 몇만 배 큰 데이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우주를 관측하는 미국
항공
우주국(NASA)에서는 단 며칠만 우주를 관측해도 수십 PB(페타바이트·1PB는 약 105만GB)의 데이터가 생성된다. 대용량 데이터는 전송하는 데도 오랜 시간이 걸린다. 데이터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시간도 만만치 ... ...
세계 6위 군사력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실제로 국방부는 8월 10일 발표한 2021~2025년 국방중기계획에서
항공
기를 실을 수 있는 경
항공
모함과 스텔스 기술을 무력화할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더 등을 도입할 계획을 밝혔다 ... ...
[과학뉴스] 실가닥 뿜어내는 태양?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뿜어내고 있는 실 가닥 같은 모양들, 보이시나요? 이 사진은 지난 4월 9일 미국
항공
우주국(NASA) 마셜우주비행센터(MSFC)와 영국 센트럴랭커셔대학교 공동연구팀이 공개한 태양의 모습이에요. 이 사진은 대기의 코로나 온도가 태양 표면의 온도보다 높은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2018년 5월 미국에서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때 한 칸(픽셀)의 길이가 30cm인 초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목표다. 채태병 한국
항공
우주연구원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 위성활용부장은 “우리나라가 운용하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앞으로 극지를 더욱 촘촘하게 관측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나라 연구자가 타고 있는 쇄빙연구선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빙붕이 붕괴하면 빙하가 쉽게 바다로 흘러 내려와 해수면을 상승시킨다. 2016년 미국
항공
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 등 전 세계 극지 연구팀은 난센 빙붕을 주시하고 있었다. 난센 빙붕에는 1999년부터 작은 균열이 확인됐고, 극지연구소는 2014년 난센 빙붕에서 30km에 걸친 거대한 균열을 발견했다.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