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술가
화백
예술가
예술인
예인
이즐
작가
d라이브러리
"
화가
"(으)로 총 88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과학에 ‘일러스트 르네상스’ 올까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어떤 것이 있을까. 동·식물도감이나 수목원, 과학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생태세밀
화가
좋은 예다. 생태세밀화는 작가가 자연의 생김새를 보이는 대로 연필로 스케치한 뒤, 얇은 붓과 물감으로 채색한 그림이다. 생태세밀화는 정확한 묘사가 생명이다.한국에서 서식하는 곤충과 식물을 그리는 ... ...
절대 터지면 안 되는 ‘열통 터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유래한 말이래. 몰랐지? 몰랐을 거야. 알았다면 그런 말을 썼을 리가 없지. 물론 요즘에는
화가
머리끝까지 차오를 만큼 격분한 상태를 일컫는 말이기도 해. 아니 뭐 그렇다고.근데 내가 재밌는 얘기 하나 해줄까? 자기가 나한테 “열통 터진다”라는 말을 했을 때 난 갑자기 말 그대로 메탄가스 ... ...
작전명령 ① 대포를 정확하게 쏴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진지에 가지도 못한 채 강에 떨어졌고, 어떤 것은 너무 멀리 날아가 지나쳐 버렸어.
화가
난 나폴레옹은 포병대장에게 “대포를 어떻게 쏘는 거야!” 하며 호통 쳤지. 포병대장은 강의 폭을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포탄이 날아갈 거리를 계산할 수 없다고 대답했어. 그런데 잠시 후, 나폴레옹은 ... ...
수학천재 식물에게 배운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5월, 오색찬란한 꽃들이 여러분을 맞이하고 있어요. 꽃에는 유명한
화가
의 그림이나 값비싼 옷보다 더한 아름다움이 새겨져 있답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식물이 수학의 천재라는 사실이에요. 무슨 말이냐고요? 그럼, 우리 함께 식물 속 수학여행을 떠나 봐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천재 ... ...
나무그늘도 수학 실력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보인답니다.이같은 원리를 처음 발견한 사람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였어요. 과학자이자
화가
인 다빈치는 뛰어난 관찰력으로 쉽게 지나치던 식물에서 원리를 찾아 냈죠. 훌륭한 사람은 아무리 작은 것도 그냥 지나치는 법이 없나 봐요. 수학이 증명한 최고의 모양식물에 있는 피보나치 수열을 ... ...
한의학으로 본 ‘애가 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파릇파릇 돋아나는 새싹처럼 기운을 위로 올라가게 만든다.
화가
날 때를 생각해보자.
화가
나면 기운이 올라가 눈이 빨갛게 되고 얼굴이 뜨거워진다. 이는 간이 기운을 위로 올리는 기능을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간 기능이 안 좋은 사람은 화를 내기 쉽고 화를 잘 내는 사람은 간 기능이 나빠지기 ... ...
반짝 반짝 빛이 그린 그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있어서 그대로 그려진 것뿐이거든요. 그런데 이 그림을 보다 보면 20세기의 유명한
화가
피카소의 그림이 떠올라요. 그림 ➍ 속의 얼굴을 보세요. 한 얼굴에 앞모습과 뒷모습이 동시에 그려져 있어서 원래 모습을 찾기가 어렵죠? 이렇게 뒷면, 옆면 등 다양한 면을 한 면에서 볼 수 있게 그린 그림을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없는 외톨이가 되지는 않을지 걱정하며 그저 웃어야 할까? 결코 그렇지 않다. 전문가들은
화가
난 상태에서는 ‘일단 하던 것을 멈추라’고 조언한다. 잠시 여유를 갖고 화를 낼 필요가 있는지 생각해 본다. 그 다음 정당하다고 판단되면 화를 표현해야 한다.하지만 화를 내는 데에도 요령이 있다. ... ...
아바타 열풍! 지금은 3D 시대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꽃과 사람이 모두 살아 있는 듯 흔들거리네요.아바타의 기술은 '이모션(Emotion) 캡쳐'3D 영
화가
기존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바타가 인기몰이를 한 이유는 기존 3D와 다른 기술에 있어요. 기존 3D의 '모션(Motion)캡쳐'는 말 그대로 사람의 몸에 센서를 부착해 동작을 디지털화한 것이죠. '이모션캡쳐'는 ... ...
끝이 없는 신비의 수, 무리수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또 모든 도형의 선분의 비는 정수비로 이뤄졌다고 생각했다.왼쪽 그림은 중세의
화가
라파엘로가 그린 ‘아테네 학당’ 모습이다. 왼쪽 아래에서 책에 무언가를 열심히 적고 있는 사람이 피타고라스다. 피타고라스 옆에 제자가 들고 있는 칠판을 살펴보자. 칠판의 문자를 점으로 나타내면 삼각형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