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술가
화백
예술가
예술인
예인
이즐
작가
d라이브러리
"
화가
"(으)로 총 880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 안에 수학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비례를 연구해 신전 건축에 적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의 연구를 그림으로 나타내려는
화가
들은 잇달아 실패하고 말았다. 인체를 정사각형과 원에 동시에 내접하게 그리는 방법을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이 문제를 가장 현명하게 풀어 낸 사람이 바로 15세기 이탈리아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다. 그는 ... ...
환상의 그림나라에서 알쏭달쏭 과학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그림이긴 한데, 흐음….이건 조르주 쇠라의 ‘그랑드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야. 이
화가
는 수많은 점을 콕콕 찍어서 색깔을 표현했다고 들었어. 이 그림에 담긴 과학은 뭘까?여기 돋보기가 있어. 와아, 자세히 들여다 보니 이 사람의 얼굴이 살색인지 전혀 모르겠네. 초록색도 있고, 빨간색도있고… ... ...
고민타파! 키에 대한 모든 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수밖에 없다고? 그러면 스트레스를 잘 푸는 방법을 알려 줄게. 무조건 화를 참지 말고
화가
나는 것에 대해 부모님이나 친구들과 이야기를 해 보자. 또 자신의 몸과 주변을 깨끗하게 하고 언제 먹고, 자고, 공부하고 운동할지를 정해 균형 잡힌 생활을 하는 것이 좋아.컴퓨터 게임 버려버려컴퓨터 ... ...
아바타 열풍! 지금은 3D 시대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꽃과 사람이 모두 살아 있는 듯 흔들거리네요.아바타의 기술은 '이모션(Emotion) 캡쳐'3D 영
화가
기존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바타가 인기몰이를 한 이유는 기존 3D와 다른 기술에 있어요. 기존 3D의 '모션(Motion)캡쳐'는 말 그대로 사람의 몸에 센서를 부착해 동작을 디지털화한 것이죠. '이모션캡쳐'는 ... ...
끝이 없는 신비의 수, 무리수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또 모든 도형의 선분의 비는 정수비로 이뤄졌다고 생각했다.왼쪽 그림은 중세의
화가
라파엘로가 그린 ‘아테네 학당’ 모습이다. 왼쪽 아래에서 책에 무언가를 열심히 적고 있는 사람이 피타고라스다. 피타고라스 옆에 제자가 들고 있는 칠판을 살펴보자. 칠판의 문자를 점으로 나타내면 삼각형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신어 서 발등이 휘어져 있지도 않다.”1919년 당시 대한제국이었던 한국을 방문한 영 국인
화가
엘리자베스 키스가 1946년 영국 런던 에서 발간된 자신의 책 ‘Old Korea: the Land of Morning Calm(옛 한국: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 적 은 내용이다. 아마 그녀가 본 것은 버선을 신은 발 이었을 것이다. 시인 ... ...
셋째 날 상상하면 이뤄질까?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감상해 볼까?뫼비우스 띠는 예술가에게도 독특한 영감을 주나 봐. 20세기 네덜란드의
화가
에셔는 뫼비우스 띠를 모델로 그림을 자주 그렸어. 끊임없이 이어지는 뫼비우스 띠의 성질 때문에 회사 로고 등에도 끊임없는 성장을 상징하며 쓰이기도 한대. 뫼비우스 띠 II에셔의 그림이다. 뫼비우스띠를 ... ...
알뜰살뜰 세뱃돈 불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세뱃돈을 주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뱃돈 풍습이 본격적으로 확산된 것은 현대
화가
시작된 1960년대 이후며, 1980년대부터는 보편적인설 풍습으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세뱃돈만 무려 2조 원어른 한 명이 주는 세뱃돈은 그다지 많지 않아 보이지만 우리나라 전체로 보면 세뱃돈시장은 ... ...
‘손발이 오그라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연인을 만나서 행복할 때는 자동적으로 입꼬리가 올라가고 눈가에 옅은 웃음이 핀다.
화가
날 때는 나도 모르게 미간에 주름이 진다. 이렇듯 우리의 감정은 뇌의 작용 없이도 얼굴에 쉽게 표현되며 무수한 안면 근육이 수축하는 조합으로 나타난다. 감정이 얼굴에 잘 나타나지 않는 사람을 ... ...
줄기세포 원정치료 논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그리게 됐다고.“자가면역질환은 면역계가 자신의 조직을 공격하는 병으로 왜 이런 변
화가
생기는지 아직까지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고 마땅한 치료제도 없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2005년 중간엽줄기세포가 면역조절능력이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습니다.” 중간엽줄기세포는 사이토카인 인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