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뉴스
"
분자
"(으)로 총 3,379건 검색되었습니다.
더 안전하게, 광범위하게...'올인원' 유전자가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부위에서 작용하는 것을 'RNA 의존적(dependant)'이라고 부른다. 배상수 서울대 의과대학
분자
유전공학실험실 교수는 "RNA 의존적인 재조합효소가 처음으로 발견됐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핵심"이라며 "수정할 염기서열을 조절하기 용이해 통합적이고 설계하기도 쉬운 유전자 교정이 가능해진다는 것 ... ...
UNIST, 나노 단위 제어 가능한 금속-유기 골격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다공성 고체 기계 설계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다양한
분자
기계 부품의 탐색 및 기계 링크 구조의 작동 원리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디지털 데이터 스토리지와 같은 특정 응용 분야에 새로운 길을 열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청바지 원료로 값싸고 성능 좋은 리튬이온전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1저자인 박창현 UNIST 박사과정생은 “전해질에 물
분자
가 포함된 수계 전해질에서 프러시안블루를 안정적으로 구동한 최초의 연구”라며 그 의의를 밝혔다. ... ...
김상욱 KAIST 교수, 미국·유럽 재료학회 의장에 동시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아이디어를 논의한다. 2025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개최되는 E-MRS 가을 학회는 특별히 '
분자
조립 나노 패턴(DSA)' 관련 연구자들로 의장단이 조직됐다. DSA는 극자외선(EUV) 반도체 패터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는 기술이다. 김 교수는 DSA 태동기인 2003년에 고질적 난제였던 ... ...
역대 최고 '고에너지 중성미자' 발견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6.23
띤 입자 반응을 포착한다. 중성미자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입자가 공기, 물 또는 암석
분자
에 부딪히면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입자 뮤온이 나오는데 이 때 광자 검출기가 희미한 섬광을 감지한다. 코엘료 연구원은 KM3NeT의 센서가 지구 지평선 약 1도 아래에 도달한 중성미자에 의해 생성된 ... ...
단단하면서도 길이 5배까지 늘어나는 '유리성 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0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클 디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화학 및 생체
분자
공학과 교수팀이 단단한 유리성 폴리머과 말랑말랑한 젤의 장점을 모두 갖춘 소재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1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유리(glass)는 원자들의 배열이 일정하지 않은 ... ...
태양열 반사 스마트섬유...도시열섬현상 대비책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이를 바탕으로 고온인 빛의 파장을 배제하고 선택적으로 빛의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분자
구조를 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수준에서 구현해 섬유에 반영했다. 광범위하게 빛을 산란시켜 내열성이 높은 플라스틱인 폴리메틸펜텐(PMP)과 단열 능력이 우수한 은 나노와이어(AgNW)를 소재로 ... ...
바퀴벌레도 잡는다는 '풋샴푸' 정체는
과학동아
l
2024.06.15
그리고 여러 식물추출물로 구성돼 있다. 계면활성제는 세정제의 대표 성분으로 한
분자
안에 물과 친한 친수성 부분과 기름과 친한 소수성 부분을 모두 가진 화합물이다. 서로 섞이지 않으려는 물질을 섞이도록 해주는 게 계면활성제의 주요 역할이다. 물에 녹지않는 기름때는 소수성 부분에 붙게 ... ...
[표지로 읽는 과학] 진화하는 알파폴드…단백질-생체
분자
상호작용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6.15
등 다른
분자
와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도 예측할 수 있다. 단백질을 넘어 광범위한 생체
분자
유형에 대해 결합 구조를 알아낼 수 있게 된 것이다. 연구팀은 알파폴드3이 "생물학적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신약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 ...
'세포 죽음 연구자' 김유선 교수,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질환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길을 제시한 이찬빈 부산대 생명시스템연구소 연구교수,
분자
단위 소재가 열전 디바이스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밝힌 박소현 성신여대 화학에너지융합학부 조교수가 선정됐다. 학술진흥상 및 펠로십 수상자에게는 상장 및 상패와 함께 연구지원비 각각 3000만원과 50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