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진기
camera
촬영기
사진기계
시네
라마
카메라앵글
뉴스
"
카메라
"(으)로 총 2,16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미 공동 연구팀 개발 자율주행차 사물 인식기술 국제대회서 1위
동아사이언스
l
2021.10.26
26일 밝혔다. ICCV가 주최하고 구글이 후원하는 이 대회는 자율주행용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
로 촬영된 실제 영상에서 차량 주변 객체를 분할하고 추적하는 기술을 겨루는 행사로 비디오·비디오+깊이영상·라이다(레이저 레이더) 분야로 나눠 진행된다. 중국 최대 인터넷기업 바이두, 독일 ... ...
자율주행차, 최고 속도를 겨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2
줄이기 위해 앞차의 뒤에 바싹 달라붙는 주행 전략도 써야한다. 레이더와 라이다,
카메라
로 순식간에 수 cm까지 바짝 붙은 경쟁 차량을 빠르게 인식해 충돌도 피해야 한다. 강력한 8기통 420마력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바람의 저항을 이겨내며 센서가 고장나지 않고 작동하도록 정교한 ... ...
목성 궤도 트로이군 소행성 탐사선 '루시' 12년 대장정 올라
동아사이언스
l
2021.10.17
소행성을 탐사하기 위해 우주선을 보내는 것은 루시가 최초다. 루시에는 고해상도
카메라
와 분광계 등 원격 측정 장비와 안테나가 달려 있다. 양 옆에는 펼치면 5층짜리 건물을 뒤덮을 정도로 거대한 태양광 패널 1쌍이 달려 있다. 우주에 나서자마자 이 패널들을 펼쳐 충전할 계획이다. 엄청난 ... ...
[우주산업 리포트]위성 애용자 미군도 탐낸다는 초저궤도 위성
2021.10.15
카메라
로 찍은 사진이 일반
카메라
보다 월등히 좋지만 1m앞에 물건을 찍는 경우 두
카메라
가 찍은 사진에서 큰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운 것과 동일하다. 이탈리아 시타엘 제공 또 위성의 크기가 작아지고 가벼워지면 발사비용도 줄어든다. 1kg당 발사비용은 최소 수백만 원으로 위성의 무게를 단 ... ...
태양계 50억년 뒤 '미래' 백색왜성 도는 목성급 행성 첫 발견
연합뉴스
l
2021.10.14
켁 천문대에 설치된 10m 구경 망원경의 레이저 유도 항성 적응 광학 시스템과 근적외선
카메라
(NIRC2)를 이용해 백색왜성은 태양 질량의 약 60%, 행성은 목성 질량보다 약 40% 더 큰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NASA가 2020년대 중반에 발사할 '낸시 그레이스 로먼 우주 망원경'이 가동되면 은하 ... ...
지구방어 소행성 충돌 첫 시험 DART 우주선 내달 말 발사
연합뉴스
l
2021.10.06
불리는 디모르포스는 약 160m의 지름을 갖고 있다. DART 우주선은 소형차 크기로 자체
카메라
와 자동항법장치를 이용해 디모르포스에 초속 약 6.6㎞로 충돌한다. 지구에 심각한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소행성의 전형적인 크기를 가진 디모르포스는 DART 우주선의 충돌로 디디모스 궤도를 도는 속도가 ... ...
[사이언스N사피엔스]빛나는 흑체, 20세기를 열다
2021.09.30
눈에 보이지는 않는다. 몸에서 나오는 전자기파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적외선
카메라
가 필요하다. 뱀 같은 동물은 그런 장비를 타고난 덕분에 먹잇감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감지해 사냥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이 현상을 연구하고 싶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열을 흡수했을 때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어떤 ... ...
다른 새 둥지에 알 낳아 양육 떠넘기는 '탁란' 눈 크기가 결정
연합뉴스
l
2021.09.29
저자인 플로리다 자연사박물관의 이언 오스프리 박사는 "큰 눈을 갖는 것은 렌즈가 큰
카메라
를 갖는 것과 비슷하다"면서 "큰 눈은 더 많은 빛을 모아 어둑한 조건이나 먼 거리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탁란관련 연구에서 다른 새 둥지를 이용하는 ... ...
캔위성 경연대회서 최우수상에 충북과학고·충남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9.27
고도측정과 낙하예측’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창작부 최우수상은 여러 대의
카메라
를 공기압력으로 조절하는 기술로 영상을 촬영하는 ‘광범위 영상 관측’ 임무를 수행한 충남대 씨점오점엠이 팀이 받았다. KAIST 총장상인 우수상은 충남과학고 ‘캘러스’팀과 한국과학영재학교 ‘나우 ... ...
KIST 실패 용인하는 도전연구 3개 추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3
유래 인공 광수용체를 도입해 시력을 복원하는 인공 시각 기술을 개발하는 게 목표다.
카메라
기반 인공 망막, 시신경 자극기 등 기존 기술과 비교해 새로운 시도다. 연구팀은 외부로부터 인공적 소재의 이식 없이 시력을 근본적으로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윤석진 KIST 원장은 “그랜드 챌린지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