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스페셜
"
식물
"(으)로 총 524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로부터 탄생한 생명의 시계
IBS
l
2014.07.07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신화인 길가메시 서사시에도 '가시에 찔리면 젊음을 되찾는'
식물
이 등장하고 젊음의 샘이나 현자의 돌에 얽힌 전설에서도 영원한 젊음을 찾는다는 주제가 되풀이된다. 문제는 영원한 젊음이 어디까지나 신화나 전설의 이야기라는 점이다. 진시황 역시 불로초를 찾아 여기저기 ... ...
우리 가족의 재밌는 ‘과학캠핑’ 즐기기
KISTI
l
2014.07.02
숲 체험에서는 몸에 유익한 피톤치드 성분을 들이마시며 삼림욕을 하기도 하지만 갖가지
식물
을 바라보고 만져볼 수 있어 의외의 즐거움을 준다. 곤충이라면 질겁하는 아이들도 숲에서 만난 곤충은 크게 무서워하지 않고 호기심을 가진다. 밤에 늦게 자는 습관이 있다면 오전이 아닌 한밤중을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사이에 존재하며 구조를 유지하고 세포간 신호전달에 관여한다. 다세포생물이 진화할 때
식물
세포는 세포벽을 만드는 쪽으로 진화하면서 마치 벽돌을 쌓듯이 세포들이 모여 하나의 개체를 이룬 반면, 움직여야 하는 동물은 세포가 말랑말랑하면서도 서로 연결돼 있어야 했기 때문에 세포외기질을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헨리 퍼킨 : 합성 염료 시대를 열다
KOITA
l
2014.05.27
바로 그것이다. 현대 화학이 발달하기 전까지는 의약품도 염료와 마찬가지로 동물이나
식물
과 같은 천연 자원을 원료로 사용했다. 그러나 염료 합성에서 얻은 화학적 지식을 이용해 값싼 합성 의약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길이 열린 것이다. 염료는 인류 역사를 바꿔 놓았다. 수천 년 동안 천연 ... ...
[이달의 역사]대항해 시대를 연 캡틴 쿡의 일생
KISTI
l
2014.05.14
등장하는 계기가 됐기 때문이다. 특히 쿡이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채집한 갖가지 동
식물
표본은 박물학(생물학)에 크게 이바지했고 그가 데려 온 캥거루는 유럽인들의 미지에 대한 관심을 끌게 했다. 쿡은 단순한 선박의 함장이 아니라 완벽한 과학자의 면모를 갖추고 있었다. 1차 항해에서 미지의 ... ...
[만화] 멸종 비상 바나나, 해답은 유전자 다양성!
KISTI
l
2014.05.14
이후로도 인간의 욕심은 점점 더 유전자 다양성을 축소시켰고, 지금은 감자, 바나나 같은
식물
은 물론 가축들의 유전자도 극히 단순해져 버렸단다. 외부의 환경 변화에 저항할 능력이 급격히 떨어졌다는 뜻이지.” “아빠, 진심으로 12년 평생 가장 슬픈 이야기에요. 제가 사랑하는 이 세상의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디르나글, 독일 베를린자선의대 필자는 대학원 시절 미생물(대장균과 효모)이나
식물
(애기장대)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지만, 옆 실험실에 놀러 가 동기들이 생쥐(mouse)를 다루는 걸 가끔 본 적이 있다. 어쩌다가 시궁창 같은 데서 보이는 쥐(rat)는 크기도 주먹만 하고 색깔도 칙칙한 회색인 게 ... ...
괴테는 어떻게 꽃이 잎의 변형기관이라는 사실을 알았나
2014.04.21
위대한 시인이기보다는 뛰어난 과학자로 불리기를 바랐던 독일의 대문호 요한 볼프강 폰 괴테는 61세 때인 1810년 자신의 최대 역작인 ‘색채 ... 이끈 계기가 된 기형 꽃을 피우는 장미가 기생 박테리아의 농간으로 만들어진 좀비
식물
이라는 사실을 괴테가 알았다면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 ...
[생활 속 기술]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
KOITA
l
2014.04.17
수 있다. 이 때 물은 진흙을 결합시키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농업 과정에서 생기는
식물
성 폐기물을 연결시키는 접착제란 무엇일까. 이들은 또다른 생물에서 답을 찾았다. 바로 버섯이다. 버섯은 반찬이나 요리로 먹는 우산처럼 생긴 부분(자실체)과, 눈에 잘 보이지는 않지만(보통 땅 속에 있다) ... ...
꽃은 봄이 온 걸 어떻게 알까?
KISTI
l
2014.04.10
시기를 결정하는 유전자 피오나1(FIONA-1)이 발견됐다. 싱가포르국립대 유하오 교수팀은
식물
의 잎에서 만들어진 FT단백질이 FTIP1이라는 이동단백질을 만나 생장점으로 전달돼야 꽃이 핀다는 사실을 알아내 ‘미국공공과학도서관학회 ’생물학회지(PloS Biology)’ 2012년 4월 17일자에 발표하기도 했다. 또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