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스페셜
"
식물
"(으)로 총 524건 검색되었습니다.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그는 “기초 생물학 연구 인력이 최근 눈에 띄게 줄었다”며 “머지않아 국내에서
식물
분류나 동물학처럼 기초 중의 기초를 연구하는 인력이 모자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영훈 원장의 ‘이것만은 꼭!’ ○ 바이오 연구에서 대학, 연구원 그리고 기업의 역할 분담이 이뤄져야 한다. ○ ... ...
맛이 좋은 커피, 몸에 좋은 커피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데 긍정적인 내용도 많지만 모순적인 결과도 많다. 커피 원두는
식물
의 씨앗으로 그 안에 수백 가지 분자들이 들어있는데 여기에는 카페인 뿐 아니라 항산화 효과를 내는 물질을 비롯해 다양한 유효성분이 알려져 있다. 만일 커피가 수천 년 전부터 동아시아에서 알려졌다면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따라서 포화지방산이 많은 소고기의 지방은 상온에서 고체이고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식물
기름은 액체다) 몸속에서 지방이 굳지 않아 불포화지방산이 좋다고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한편 칼로리는 포화도에 따라 별로 차이가 없다. 당혹스러운 건 같은 불포화지방산이라도 오메가6지방산이나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나눈 것. 1969년 미국 코넬대의 생태학자 로버트 휘테커는 곰팡이나 버섯 같은 균을
식물
로 보는 건 무리가 있다고 보고 균류를 별도의 계로 독립시킨 ‘5계 분류체계’를 제안했고 그 뒤 휘테커의 분류법은 널리 받아들여졌다. 필자도 학창시절 이 분류법을 배웠다. 그런데 1990년 우즈 교수가 드디어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해군에서 용접공으로 복무했고 제대한 뒤 럿거스대에서 농학을 공부했다. 듀크대에서
식물
생태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에모리대와 다트머스대를 거쳐 1966년부터 은퇴할 때까지 예일대에서 근무했다. 그는 다트머스대 시절 동료인 라이컨스와 공동으로 중요한 일들을 해냈다. 이들은 지엽적인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삶에 만족하지 못한 밀러는 다시 공부를 하기로 결심하고 미네소타대 박사과정에 들어가
식물
유전학을 연구했다. 학위를 마친 뒤 박사후과정을 하면서 염색체 구조에 관심을 갖게 된다. 1961년 36세에 오크리지국립연구소에 자리를 잡은 밀러는 전자현미경으로 DNA가닥에서 유전자가 전사되는 장면을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독특한 식감과 풍미를 갖는 음식을 만드는 식재료라는 사실이다. 밀이 그토록 복잡한
식물
이라는 게 왠지 더 어울린다는 생각도 든다. 눈 오는 날 베이커리 카페 창가에 앉아 오븐에서 갓 나온 따끈따끈한 빵 한 덩어리와 커피 한 잔을 두고 ‘빵의 역사’를 다시 한 번 읽어봐야겠다 ... ...
소리없는 살인자, 방사성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3.04.24
사용한다. 방사선의 에너지로 유전물질이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특정 방사선에는
식물
보다 곤충이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해충 방제에 활용하기도 하고 수확한 작물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상하지 않게 보존 처리를 하는 예도 있다. 식품에 방사선을 활용한다는 것이 꺼림칙하게 ... ...
식물
의 광합성 단백질 모사해 인공 안테나 단백질 합성
동아사이언스
l
2013.04.24
식물
안테나 단백질 모사에 적합하다는 설명이다. □ 서지원 교수는 “35억년간
식물
이 발전시켜 온 광합성 시스템의 효율을 이기는 것은 쉬운 도전이 아니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인공 광합성 안테나의 대량생산을 위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고 밝혔다. 문의 : 기초연구진흥과 최도영 ... ...
한의학硏, ‘R&D의 재구성’으로 천연물신약 쏟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2.12.31
좁은 국토에도 불구하고 자생
식물
은 4000여 종에 달하고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특산
식물
은 분류방법에 따라 400~800여 종에 이른다”며 “생명공학과 한의학이 함께 연구한다면 한국 고유의 새로운 천연물신약을 다수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한의학계가 실질적으로 타 분야와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