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뉴스
"
특정
"(으)로 총 5,416건 검색되었습니다.
파킨슨병 일으키는 뇌염증 원인 찾았다
2015.10.14
김상룡 경북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혈액 응고를 일으키는 단백질인 ‘프로트롬빈’의
특정
부위가 과도한 뇌염증을 일으키고 그 결과 파킨슨병이 발생한다고 14일 밝혔다. 파킨슨병은 근육이 강직되고 떨리며 움직임이 느려지는 퇴행성 질환으로, 국내 65세 이상 노인 10만 명 가운데 2000~3000명이 ... ...
만능줄기세포 결정 칼날 쥔 리보솜
2015.10.12
전사된 후 과정에 관여한다. 연구팀은 배아줄기세포 내 RNA결합단백질을 대상으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유전자를 선별해내는 기법인 ‘RNA간섭 유전자선별검사(RNAi screen)’을 실시했다. 그 결과 16개 RNA결합단백질이 배아줄기세포 조절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아냈다. 특히 이 중 6개의 ... ...
대마초의 과학
2015.10.12
이를 타깃으로 하는 내인성카나비노이드는 신경조절물질(neuromodulator)일 것이다. 즉
특정
뉴런에 국한돼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라 신경계 전반에 걸쳐 작용한다는 말이다. 지금까지 확인된 내인성카나비노이드 관련 물질은 150가지가 넘는다. 85세임에도 여전히 연구에 열심인 라파엘 머슐럼 교수는 ... ...
국립대→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 개원
2015.10.12
수시로 모집할 수 있고 모집군별 제한을 받지 않는 등 학사행정에 자율성이 부여되며,
특정
연구기관으로 편입되면서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과기대 시절 울산과기원은 2차전지 연구에서 세계 3위권에 올랐으며 관련 기술을 지역 기업에 이전해 64억 원의 ... ...
“초파리 허물 벗는 데는 ‘뉴런’이 중요”
2015.10.12
만일 탈피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동물은 살아남지 못한다. 따라서 이 과정을 알면
특정
해충의 탈피 과정을 저해하는 신개념 해충 방제제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된다. 연구 결과는 ‘플로스 지네틱스(PLoS Genetics)’ 9월 24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전기 통하는 新 부도체 찾았다
2015.10.09
원리와 같다. 연구진은 주사터널현미경(STM)으로 인듐 원자 전선을 관찰한 결과
특정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솔리톤을 발견해 여기에 ‘카이럴 솔리톤’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염 단장은 “전자기기는 내부의 트랜지스터에서 전자가 한 번에 수십 개 이상 이동하기 때문에 열이 발생하고 전력 소모도 ... ...
코끼리 도토는 정말 정준하를 기억했을까
2015.10.09
목소리를 따라하면 말을 잘 듣는 걸 보면 코끼리의 기억력이 좋은 것 같다”고 말했다.
특정
한 물건을 들고 있는 등 주변 정보가 함께 주어지면 동물의 기억력이 향상된다는 분석도 있다. 여용구 서울대공원 동물병원 수의사는 “빈손으로 동물에게 다가가면 별다른 반응이 없다가도 치료를 위해 ... ...
SK 와이번즈 울린 야구 명언 ‘히드랍더볼’
동아사이언스
l
2015.10.08
함성소리도 백색소음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응원가는 아닙니다. 응원가는 앰프를 통해
특정
주파수의 소리가 흘러나오지요. 관중에게는 분위기를 돋우는 역할을 하지만, 선수에게는 오히려 방해가 될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 듣기 좋은 소음이 있을까? ○경기 중 OO하면, 집중력 향산된다 ... ...
[2015 노벨상 분석]“한국 노벨 과학상은 20년 뒤에나…”
동아사이언스
l
2015.10.08
정부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특정
분야를 전폭적으로 지원합니다.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가 대표적인 사례죠. 그런데 한국 정부는 당장 내년 연구개발(R&D) 예산부터 사실상 줄인다고 합니다. 자칫 씨감자를 갉아먹는 시도가 될 수 있습니다.”(서울대 A 교수) ... ...
와이퍼 필요없는 자동차 나올까
2015.10.06
실리카 구조를 나노미터 수준에서 정교하게 가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아조분자가
특정
한 방향성이 있는 편광을 받을 때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특성이 있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연구팀은 아조분자를 실리카 표면에 쪼여 30nm 이하인 나노 구조를 갖는 대면적 실리카 구조체를 제작하는 데 ... ...
이전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