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특정"(으)로 총 5,416건 검색되었습니다.
- 7년간 2504명 분석, 인종 별 유전 다양성 밝혔다2015.10.04
- 단일염기다형성(SNP)으로, 무려 8470만 곳에서 차이가 있었다. 나머지 중 360만 곳에서는 특정 염기가 아예 사라져 버린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염색체 자체에 구조적인 변화가 생긴 곳은 6만 곳에 이르렀다. 염색체의 구조 변화는 특히 질병과 관련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이언스 ... ...
- 정신지체 유전 질환 ‘취약 X 증후군’ 유전자 교정 첫 성공2015.10.04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을 적용했다. 취약 X 증후군은 FMR1 유전자 근처의 DNA에 특정 염기서열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나 생긴다고 알려진 만큼 염기서열을 잘라내 유전자 기능을 되찾게 하기 위해서다. 연구팀이 DNA에서 반복서열을 제거하자 FMR1 유전자는 단백질로 발현되기 시작했다. 이때 ... ...
- 24시간 뒤면, 저도 잊혀질까요?2015.10.02
- 효율이 간, 신장 등 다른 조직에 비해 현저히 낮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실제로 쥐에게 특정 학습을 시킨 직후 20여개의 단백질 생성이 억제됐다. 이는 장기기억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단백질이 생성돼야 한다고 알려졌던 그간의 가설을 뒤집는 것이다. 강 교수는 “장기기억 형성에 관여하는 ... ...
- 야자열매, ‘떡잎’ 때 미리 품질 안다2015.09.29
- 4종의 염기(A, T, G, C)로 구성돼있다. 염기서열을 분석한다는 것은 4종의 염기가 특정 유전정보 내에 어떻게 배열돼 있는지 그 순서를 밝히는 것이다. 대표적인 유전자 분석 사업인 ‘인간게놈 프로젝트’는 2003년 종료됐고, 현재는 과거엔 상상하지 못했던 ‘차세대 염기서열분석장비(NCS, Next-Generation ... ...
- 독감바이러스 확산 일으키는 ‘연결책’ 찾았다2015.09.29
- 있다. 이 분자는 사람 호흡기 세포 표면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특정 수용체와 결합해야만 전염력이 생긴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HA와 수용체들 간의 관계를 자세히 살피기 위해 2009년 유행한 H1N1 독감바이러스의 아종을 대상으로 추가 연구를 진행했다. 이 바이러스는 ... ...
-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5.09.28
- 다짐했다. pixabay.com 제공 ○ INSIDE 1. 단일염기다형성(SNP) SNP는 개인별로 DNA 특정 위치에 나타나는 염기 변이를 가리킨다.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염색체의 SNP,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염색체의 SNP에서 각각 하나씩 읽는다. SNP는 흔히 돌연변이와 혼동된다. 둘의 가장 큰 차이는 빈도다. 체내 ... ...
-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09.26
- 국내에도 곤충을 기록한 책은 꽤 있다. 특히 곤충을 분류해 특징별로 설명한 도감과 특정 곤충분류군의 생태를 소개한 책이 많다. 허나 우리 땅에 사는 곤충 전체를 이야기하는 책은 아직까지 없었다. 시간도 많이 걸리고 곤충 전반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런 ... ...
- ‘한국의 파브르’ 정부희 곤충기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5.09.25
- 년부터 책으로 펴낸 곤충기만도 5권. 지금까지 곤충을 분류 기준에 따라 설명한 도감이나 특정 곤충의 생태를 소개한 책은 많았지만 우리 땅에 사는 곤충 전체를 이야기하는 책은 처음이다. 그의 곤충기는 논문과 수필을 오간다는 점에서 ‘파브르 곤충기’와 비슷하다. 곤충의 생태를 소개하다가 ... ...
- [수학교육 논쟁] 수학 교육, 줄일 게 아니라 흥미롭게 만들어야2015.09.16
- 학생들도 AP 미적분을 수강하곤 한다. 고등학교 자체적으로 AP과목을 가르치고, 학교에 특정 과목이 없는 경우만 근처 대학에 가서 수강하기도 할 뿐이다. 독자적이고 비판적인 ‘생각의 능력’을 갖춘 시민의 양성은 교육의 주요 가치이고, 논리적 추론을 거쳐 결론을 이끌어 내는 수학은 사색의 ... ...
- 영화 ‘킹스맨’처럼 소리로 뇌세포 조종 성공2015.09.15
- 미세버블이 초음파에 의해 진동하면서 신호를 증폭하도록 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특정 초음파 주파수에 반응하도록 만든 신경세포의 이온채널(TRP-4)을 켜고 끄는 등 자유자재로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챌러사니 박사는 “TRP-4는 사람에게는 물론 원하는 세포에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는 ... ...
이전477478479480481482483484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