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침팬지도 익힌 음식을 좋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기다렸어요. 침팬지도 사람처럼 조리된 음식을 더 좋아하는 게 밝혀진 거예요.이처럼 우리와 사람들은 비슷한 점이 많아요. 가장 가까운 친척 동물이라 할 수 있죠. 그런데 나더러 사람들의 적이 되라뇨! 다른 데 가서 알아보세요 ... ...
- 메르스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그런데 신종 바이러스는 그동안 우리 몸이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형태예요. 즉, 우리 몸이 신종 바이러스에 맞는 항체를 갖고 있지 않아 바이러스를 물리치가가 어렵답니다.Q 메르스에 감염됐는지 어떻게 확인하나요?일단 감염 의심자의 가래를 채취해요. 그리고 정확한 검사를 위해 가래 속에 ... ...
- 지사탐, 탐사기록 5000개가 우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않은 새 밀원식물을 찾았는지에 대해서는 수료식에서 전문가 분들이 답해 주실 거예요. 우리의 탐사를 통해 꿀벌이 계속 살아갈 수 있는 터전을 만들어 봐요.귀화식물은 꼭 다시 만나 주세요!올해 처음 시작된 귀화식물 탐사에 대한 열기가 뜨거워요. 벌써 1727건의 탐사기록이 올라왔어요! 지난 5월 ... ...
- Intro. 디지털 시대의 종말, 5세대 컴퓨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연산을 처리하는 초병렬방식의 컴퓨터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구현한다. 그런데 과연 우리는 새 패러다임을 맞을 준비가 되어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디지털 시대의 종말, 5세대 컴퓨터Patr1. 폰노이만 vs 비(非)폰노이만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Part3. ‘살아남은 ... ...
- Patr1. 폰노이만 vs 비(非)폰노이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그가 순차적으로 연산을 수행하는 일명 폰노이만 방식의 컴퓨터를 제안한 뒤 우리는 한번도 이 틀을 벗어나본 적이 없다. 하지만 하나씩 일을 처리하기엔 정보가 너무 많아졌고, 컴퓨터가 수행해야 할 일은 넘쳐난다. ‘연산을 한꺼번에 할 순 없을까?’ 지극히 자연스러운 이 질문은 5세대 컴퓨터를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난공불락의 문제다. 이 원리를 보안에 이용해 쉽게 풀리지 않는 암호를 만든게 현재 우리가 쓰는 암호체계(RSA 알고리듬)다.그러나 양자컴퓨터에는 다항 시간 안에 소인수분해를 할 수 있는 쇼어 알고리듬이 있다. 즉, 양자컴퓨터가 개발되면 현재 RSA 알고리듬으로 구현된 암호는 모두 풀릴 수 있다.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지키는 방법은 서로를 지지하며, 배려하고, 연대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테러로부터 우리를 지키는 길은 공동체를 이루는 것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디지털 시대의 종말, 5세대 컴퓨터Patr1. 폰노이만 vs 비(非)폰노이만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Part3. ‘살아남은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대학이 있다. 포스텍(2012년 7월 도입)과 KAIST(2013년 9월 도입) 두 군데다.옴부즈퍼슨을 우리나라에도 도입하자는 이야기는 오래 전부터 있었지만, 본격적으로 논의가 시작된 건 최근이다. 황은성 서울시립대 교수는 도입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교수 입장에서는, 제3자인 옴부즈퍼슨이 ... ...
-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대신, 20만 개의 확산광을 계산하는 거죠. 계산 시간은 수만 배이상 단축되고, 다행히 우리 눈은 이것을 전혀 구분하지 못합니다. 아직은 1차 버전인데, 차차 눈 알갱이를 뭉친 눈사람, 수증기 입자가 모인 구름, 설탕으로 지은 집으로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 ...
- ‘멀티플레이어’ 뇌의 선택과 집중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가지 일을 한꺼번에 처리해야 할 때 우리 뇌는 중요한 것을 선택하고 집중하는 전략을 취한다. 미국 뉴욕대 의대 마이클 할라사 교수는 뇌의 어느 부분이 선택과 집중 전략을 조절하는지 알아냈다. 할라사 교수는 먼저 정상 쥐가 여러 가지 자극 중 어떤 자극을 선택하고 어떤 자극에 집중하는지 ... ...
이전477478479480481482483484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