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오히려 급격히 줄어들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스티븐 핑커 교수의 저서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에 따르면, 농경 이전의 생활 양식인 수렵, 채집을 하던 시대의 사망자 가운데 폭력에 의해 죽임을 당한 비율은 60%에 달했다. 이 수치는 20세기 유럽으로 오면 1% 수준으로 낮아진다. 핑커 교수는 ... ...
- 예술가가 우주를 보는 방법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수 없다.”아인슈타인의 말에 영감을 받은 작가는, 우리가 세계를 이해하는 방법이 우리의 편협한 감각에 너무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한다. 그 길로 곧장 집 뒤뜰의 지하실로 들어가 손으로 세계를 탐험하는 그만의 방법을 개발하기 시작했다.이 시리즈는 작가가 본격적으로 우주와 ... ...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미국과 유럽은 자국에 서식하는 모든 새들의 이동경로를 이미 파악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 새들의 이동경로는 대부분 일본 등 해외 학자들이 연구하고 있다”며 아쉬워했다.안성천에 다녀온 뒤부터는 하늘을 나는 새나, 거리를 지나다니는 고양이를 볼 때마다 예사롭지 않다. 저 녀석은 어디서 ...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바퀴 돌아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왔다면, 처음과 나중의 파동함수는 당연히 같아야 한다. 우리가 운동장을 한 바퀴 돌았다고 다른 사람이 될 수는 없듯이, 같은 위치에서 구한 파동함수가 서로 다를 수 없기 때문이다. 양자역학의 파동함수는 복소수로 이뤄진 함수이므로, 한 바퀴 빙 돈 파동함수가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알아낸다면 테러를 막아낼 수 있을까. 프리드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메커니즘을 안다고 해서 이것을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은 아주 어려운 문제다. 하지만 생명과학적으로 현상을 이해하는 것은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학교 환경과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소비하는 에너지량 자체를 우선적으로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윤순진 교수는 “우리는 에너지 낭비가 구조화된 삶을 살고 있다”며 “독일은 감축목표의 50%를 일단 소비에서 줄이고, 그 다음에 재생에너지, 저탄소 기술을 통해 감축할예정”이라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술과 설탕 내뿜는 혜성?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테리 러브조이가 발견한 혜성으로, 올해 1월 30일께 8000년 만에 태양 근처를 지나며 우리에게 모습을 드러냈다.분석 결과 러브조이 혜성에서는 총 21종류의 분자가 발견됐다. 그 중에는 술을 만드는 원료인 에탄올(C2H5OH)과 생명체의 주요 성분인 글리콜알데히드(CH2OHCHO)가 포함돼 있었다. 주저자인 ... ...
- 외로움의 허기를 무엇으로 달랠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굶어 죽게 될 것이다. 배고픔은 우리에게 에너지를 섭취하라고 보내는 신호다. 외로움도 우리에게 다른 사람을 만나라는 신호다. 인간은 다른 이와 관계를 맺고 협동하며 진화했기 때문이다. 만약 당신이 지금 외롭다면 그 자체는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외로움을 푸는 방법은 문제가 될 수 있다 ... ...
- [Life & Tech] 우리 결혼할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규명하려고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습니다. 온천수에 풍부한 다양한 광물질, 즉 미네랄이 우리 몸에 좋은 영향을 준다고 보는 거지요. 국내의 한 의대 연구팀이 성인 남성 21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온천수에서 목욕한 사람이 담수에서 목욕한 사람에 비해 활성산소가 덜 생성됐습니다. 활성산소는 ... ...
- [Life & Tech] MSG, 결코 해롭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글루탐산은 괜찮고 MSG는 몸에 해로운 것은 아니다”라고 말합니다.그럼 이제부터 우리는 MSG를 마음껏 먹어도 되는 걸까요? 아무리 해롭지 않다고 해도 식품첨가물은 필요한 만큼만 쓰는 게 좋습니다. 더구나 MSG를 많이 쓰면 재료의 고유한 맛을 충분히 맛볼 수 없게 됩니다. 만일 “내 몸은 MSG와 ... ...
이전4804814824834844854864874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