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 가족은 식물학자! 국립수목원 귀화식물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알려진 것만 무려 321종에 달한답니다.이 가운데는 서양민들레나 개망초처럼 자연스럽게 우리 땅에 정착한 식물들도 많아요. 하지만 가시박이나 돼지풀처럼 주변 생태계를 어지럽히고, 사람에게도 피해를 주는 귀화식물도 있지요. 이런 식물들을 꾸준히 관찰해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 투과되는 투명한 상태로 변한다.파장에 따른 빛의 흡수율 그래프가 두 개의 날카로운 봉우리 모양으로 바뀌면, 흡수율 그래프의 선폭이 좁아지고 군속도가 매우 느려진다. 그결과 집단굴절률이 매우 커진다. 이 현상을 ‘전자기유도투과(EIT, Electromagnetically Induced Transparency)’라고 부른다. 루비듐 ... ...
- [Knowledge] 꿈틀대는 강속구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던지는 싱커와 유사한 2시 방향 회전축을 가지고 자연스럽게 ‘싱커성 직구’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LG 트윈스의 우규민이 대표적인 사이드암 투수다. 우규민은 올해 150이닝 이상을 던졌는데, 플라이볼에 대한 땅볼의 비율이 1.1이 넘는다. 올해 리그평균인 0.94에 비하면 꽤 높은 수치다. 해설자들이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왜 하필 이때 들어와서…’라는 생각이 들며 공부하려는 마음이 싹 사라진다. 이처럼 우리는 자율성이 침해당했을 때를 잘 견디지 못한다.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고 싶으면 그 사람이 나의 도움이 정말 필요한지 살펴야 한다. 조언을 하기 전에 상대의 자율성을 침해하지 않도록 “(네가 혼자서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박쥐 몸 안에는 수많은 바이러스가 산다. 현재까지 발견된 것만 200종이 넘는다. 그 중에는 에볼라, 메르스, 사스, 한타, 광견병 바이러스 등 인간이 걸리면 죽을 수 ... 하나라고 생각하죠. 하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있습니다. 숙주와 바이러스가 어떻게 관계 맺는지 우리는 아직 잘 모릅니다 ...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그는 25군데의 신체 부위 중 가장 아픈 세 곳으로 콧구멍, 윗입술, 성기를 꼽았다. 그는 “우리 신체에서 얼굴 피부가 가장 얇고 그 다음으로 성기의 피부가 얇다”고 원인을 밝혔다. 이런 엄청난 아픔을 이겨낸 대가로 그는 2015년 심리학•곤충학상 분야 이그노벨상을 수상했다.이그노벨상은 미국 ... ...
- 유전자가위로 만든 돼지, 반려동물로 판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가위 ‘탈렌’을 이용해 무게를 일반 돼지의 6분의 1로(15kg) 줄인 연구용 미니 돼지를 우리 돈 180만 원 정도에 판매한다고 밝혔다. 돼지는 사람과 식습관이 비슷하고, 장기의 구조나 생리 특성이 유사해 다른 실험동물에 비해 연구하기 적합하다. 그러나 사육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게 단점이다 ... ...
- 등검은말벌 대한민국을 공격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Vespa crabro ) 한 종뿐이다. 경쟁종이 없다 보니 프랑스에서 등검은말벌의 확산속도는 우리나라의 5~6배에 달한다.2004년에 남프랑스에서 등검은말벌이 처음 발견됐고, 2009년엔 파리를 포함한 프랑스 32개 주, 2013년엔 67개 주에서 발견됐다. 프랑스를 기점으로 2010년엔 스페인, 2011년엔 포르투갈, 벨기에, 2 ... ...
- [인류, 지구를 먹어치우다 냉장고로 부족해?] Part 1. 전세계는 얼마나 먹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공급된 식품 무게의 총합은 9,191,196,555,310kg. 삼시 세끼에 후식과 야식까지 챙겨먹은 우리들의 지난 날이, 이렇게 어마어마한 숫자로 남았다. 가히 ‘메가이터(Mega Eater)’라 할 만하다. 인간의 먹이 활동을 뒷받침하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음식 소비가 증가하는 속도는 일찍이 인구가 증가하는 속도를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있으면 키는 줄어들면서 이삭 크기는 그대로인 벼가 나온다. 당시 육종학자들은 우리나라 벼로는 생산성을 올리는 데 한계가 있어서 동남아시아 벼와 교배해 새 품종을 개발하려고 했다. 그런데 이 두 종류의 벼가 유전적으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인공 교배한 뒤 후대에서 불임이 생겼다. ... ...
이전4834844854864874884894904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