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뉴스
"
신경
"(으)로 총 5,232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나쁜 기억은 잘 잊혀지지 않을까
2014.12.09
도널드 헵은 이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헤비안 가소성’이라는 학설을 내 놓았다.
신경
세포인 뉴런 사이가 얼마나 단단하게 연결됐느냐에 따라 기억이 남는 정도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 가설은 그동안 동물실험을 통해 사실임이 증명됐다. iStockphoto 제공 최근 뉴런 사이의 연결을 ... ...
600V 강력한 전기 파워, 뱀장어의 사냥법
2014.12.07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전기뱀장어가 전기로 먹이의 운동
신경
을 자극하고 그 결과 근육을 수축시켜 그 자리에 머물게 한다는 것을 새로 밝혔다. 케네스 카타니아 교수는 “전기뱀장어의 사냥방법은 테이저건(전기충격기)의 작동 원리와 동일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 ...
대상포진 예방법, 예방접종이 가장 확실… 방치하면 평생 고생
동아닷컴
l
2014.12.05
일으킨다. 특히 대상포진은 초기 대처가 늦어 치료가 늦어질 경우 일부는 평생
신경
통 등을 안고 살아야 하는 위험이 있다. 전문가들은 대상포진 예방법 중 가장 좋은 것으로 예방접종을 권한다. 한 번 예방접종을 하면 50~60% 확률로 대상포진의 발병을 막을 수 있다. 50세 이상은 면역력이 떨어지기 ... ...
배터리 없는 ‘진정한 인공와우’ 나온다
2014.12.03
이렇게 생긴 신호를 압전소자(소리의 압력을 전기신호로 바꾸는 전자소자)를 이용해 청각
신경
을 자극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를 통해 기존 인공와우와 달리 음의 높낮이에 따라 다양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 셈이다. 이렇게 만든 인공와우는 100~5000Hz(헤르츠) 대역에서 6채널로 주파수를 ... ...
뇌에서 면역반응 안 일어나는 이유
2014.12.01
수초가 면역세포로부터 공격받지 않도록 Del-1이 돕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며 “
신경
염증과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물리학이나 화학의 최신 연구결과들이 대중의 관심을 끄는 경우는 드문 것 같다. 내용을 이해하기가 어렵기도 하지만 그 결과가 일상생활과 무관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 ... 비중있는 평가항목이기 때문이다. 미디어의 구미에 맞지 않는 연구일수록 좀 더
신경
을 써야 하는 않을까. ... ...
맥가이버를 보고 과학자를 꿈꾸던 소녀
동아사이언스
l
2014.11.27
한치 앞을 못 보는 상황에서 앞으로의 계획을 세울 수 있을지 등의 문제로 모든 팀원의
신경
이 날카로워졌다. “당시 팀원 중에 저 혼자 여자였어요. 그래서 제가 먼저 툭 터놓고 얘기를 시작했죠. 팀장을 도와 다 같이 이겨낼 수 있는 방향을 찾자고. 일일이 팀원들을 설득했어요.”라며 당시의 ... ...
‘내 머릿속의 지우개’ 해답 찾았다
2014.11.25
신경
세포로 분화시키자 VEGF와 SphK가 감소돼 있었으며, VEGF를 투여하자
신경
세포 기능이 회복됐다. 진 교수는 “향후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표적을 제시하는 성과”라고 설명했다 ... ...
거짓말만 하면 딸꾹질 ‘피노키오 증후군’ 진짜 있나?
2014.11.23
여주인공은 피노키오 증후군이다. 거짓말을 하면 코가 길어지는 것 대신 자율
신경
계의 이상으로 딸꾹질 증세가 나타난다. 선천적인 증후군이어서 치료도 불가능하단다. 어차피 가상의 증후군이니 43명 중 1명꼴로 흔하게 나타난다고 설정하고 있다. 이 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상대방과 대면한 ... ...
신경
세포끼리 이어주는 접착제 발견
2014.11.18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단백질 결정학기술과 바이오투과전자현미경을 활용해
신경
세포를 연결하는 두 단백질이 결합한 3차원 구조를 밝혀내고 결합의 핵심이 되는 부위도 함께 찾아냈다. 김 교수는 “시냅스접착단백질의 기능 이상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뇌질환의 발병기전 이해에 큰 ... ...
이전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