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뉴스
"
신경
"(으)로 총 5,232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 뇌수술 받으며 바이올린 연주…어떻게 가능할까
채널A
l
2014.09.15
정확한 위치를 찾는 것이 관건입니다. [전화 인터뷰 : 장진우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신경
외과 교수] 1mm 이내의 좌표를 찾아야하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이 따릅니다. 두피는 아프지만 뇌 자체는 통증을 느끼는 세포가 없기 때문에 통증을 못 느낍니다. 의료진들은 삽입된 위치가 정확한지 뇌와 손의 ... ...
뇌 100% 쓰면 영화처럼 초능력자 될까
2014.09.12
의학계에서는 커피의 카페인이나 담배의 니코틴, 초콜릿의 잔틴 등을 약한 중추
신경
흥분제로 분류한다. 카페인은 단기간의 운동 능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체내 지방산 이용을 촉진시켜 지구력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 유전자 조작으로 몸집 키우는 건 불가능 영화 ... ...
승부차기에서는 앞선수와 같은 방향으로 슛을 날려라!
2014.09.11
무작위로 몸을 던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의 인지
신경
과학과 패트릭 해가드 교수팀은 1976~2012년 사이의 A매치(국가대표 간의 경기)에서 벌어진 37건의 승부차기에서 골키퍼들이 보인 다이빙 패턴을 분석했다. 그 결과, 골키퍼들은 첫 번째 킥에서 공이 왼쪽으로 ... ...
'더도말고 덜도말고' 추석처럼 폭식하다가는
동아사이언스
l
2014.09.06
말이다. 켄티쉬박사는 “폭식은 위를 늘어나게 할 뿐만 아니라 포만감을 느끼는
신경
도 둔해지게 만들기 때문에, 음식을 먹는 양이 계속해서 늘어날 수 밖에 없다”며 “렙틴 호르몬은 식사 후 10분이 지나야 분비되는 만큼 폭식의 버릇이 있는 사람일수록 평소에 식사를 천천히 하는 것이 ... ...
포기하지 않는 사람의 뇌는 다르다
2014.09.05
앞쪽에 있는 ‘복내측시상하핵 전전두엽 피질’이 함께 반응해 포기하지 않게 만든다고
신경
과학분야 학술지 ‘뉴런’ 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럿거스대 학생 30명에게 자체 고안한 ‘학위 취득 게임’을 하도록 했다. 이 게임은 목표 점수를 설정한 뒤 주어진 문제를 풀어서 목표 한 점수에 ... ...
음악 교육 좀 받더니 대학 진학도 척척
2014.09.03
아이들의 뇌에서 언어와 읽기 능력을 담당하는 부위가 발달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
신경
과학저널’ 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로스엔젤레스에서 우범지대에 거주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10년 넘게 음악 교육을 해 온 ‘하모니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을 이용해서 연구를 진행했다. ... ...
해남 메뚜기들은 왜 떼를 이루었을까
2014.09.01
‘해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세로토닌은 대부분의 동물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신경
전달물질이기 때문에 설사 효과가 있다고 해도 함부로 쓰기는 어렵다. 그렇다고 무작정 살충제를 뿌려대는 것도 최선의 방제대책은 아닐 것이다. ○생물적 방제 가능성 있어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 ... ...
천방지축 ‘피터 래빗’ 온순하게 길들인 비결
2014.08.31
‘SOX2’와 ‘PAX2’ 등의 유전자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이들은 배아에서 뇌와
신경
이 발생할 때 관여하는 유전자다. 연구팀은 “이런 유전적 차이가 집토끼와 야생토끼의 뇌를 다르게 만들었고, 따라서 이들의 행동도 변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2 ... ...
[표지로 읽는 과학] 이해력 떨어지는 건 ‘내 탓’ 아닌 ‘뇌 탓’
2014.08.31
논문에서 “어떤 것은 빨리 배울 수 있는 반면 또 어떤 것은 배우기 어려운 이유는 이들
신경
세포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아름다운 푸른색 별이 차지했다. ‘플레이아데스’라고 부르는 이 별 무리 ... ...
“하루 만이라도 머리 좋아지게 해주세요”
2014.08.29
확인했다. 그 결과 머리 왼쪽 뒷부분을 자극했을 때 해마와 뇌 피질을 잇는 부분의
신경
연결이 가장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6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사람마다 수 cm의 차이는 있었지만 머리 왼쪽 뒷부분에서 크게 벗어나진 않았다. 또 이 부분을 5일 동안 매일 20분씩 반복해서 ... ...
이전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