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인류 매머드는 소중한 자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흩어져 나간 시기와 빙하기 동물들이 특정 지역에서 사라진 시기를 함께 분석했어요. 그
결과
인류가 유럽의 각 지역에 정착한 시기와 그 지역의 동물 멸종 시기가 사실상 같다는 점을 발견했답니다.인류가 아무리 털매머드를 사냥했더라도 한 종을 통째로 없애 버리기는 힘들었을 거예요. 하지만 ... ...
Part 3. 때 이른 겨울이 독감 불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되는 거랍니다.이와 더불어 건조한 날씨는 코와 목의 피부를 쉽게 갈라지게해요. 그
결과
바이러스가 침투하기 더 쉬워지죠. 또 코털의 움직임도 줄어들어 바이러스를 내쫓는 기능이 떨어진답니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바이러스병연구소 박만성 교수는 “춥고 건조했던 지난해 11월 말은 독감 ... ...
어기면 일어나는 비극, 해녀의 법칙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채취를 원하는 모든 사람이 각자 원하는 만큼 해산물을 전부 수확할 수 있다면 최상의
결과
다.그런데 이것은 수학적으로 불가능하다. 헝가리 수학자 존 폰 노이만은 ‘게임이론과 경제행동’에서 수학적으로 두 개 이상의 변수를 동시에 최대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바다에서 ... ...
[과학뉴스] 한반도까지 날아온 아프리카 화산재 첫 관측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포착했다. 기상 자료를 바탕으로 대기의 흐름을 역추적하고 위성 자료와 비교 분석한
결과
6월 12일 아프리카 에리트리아에서 폭발한 나브로 화산의 화산재가 우리나라까지 날아온 것을 확인했다. 이후 6개월 동안 추적 조사한
결과
, 관측 초기 15~17km 상공에 분포하던 화산재는 2개월 뒤에는 10~19km ... ...
[과학뉴스] 스마트폰 패턴잠금, 슬쩍만 봐도 해킹?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설계한 소프트웨어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120개 패턴 중 95%을 해킹했다는 연구
결과
를 2월 27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네트워크및분산시스템보안심포지엄 2017’에서 발표했다.연구팀이 만든 기술은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다른 사람이 패턴 잠금을 해제하는 모습만 촬영하면 된다. 예컨대 ... ...
[과학뉴스] ‘청정구역’ 마리아나 해구까지 오염됐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더 갈 곳이 없다 보니 수치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
는 학술지 ‘네이처 생태및진화’ 온라인판 2월 13일자에 발표됐다 ... ...
[Issue] 독극물 괴소문의 진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전문가들이 독침이나 독약을 함께 썼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이유입니다. 그러나 부검
결과
가 나와도 살해 물질을 밝히는 건 쉽지 않아 보입니다. 시안산(일명 청산가리)처럼 신경을 마비시키는 신경성 독약은 ‘심장 발작’과 같은 증상은 남기지만 정확한 물질을 추정할 만한 사망 과정은 ... ...
[Issue] 미세먼지 의문을 털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060).지난해 9월에는 0.2μm 미만의 미세먼지는 후각신경을 타고 뇌로 직접 들어간다는 연구
결과
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됐다. 영국 랭커스터대 바버라 메이허 교수팀이 치매 등의 질환으로 사망한 환자 37명의 뇌를 분석한
결과
, 뇌 조직에서 미세먼지 입자 수백만 개가 검출됐다. 성분은 ... ...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과정에서 목성과 토성의 움직임 때문에 천왕성과 해왕성의 궤도 순서가 뒤바뀌었다는
결과
가 나왔다. 그만큼 소행성들의 움직임이 중요하다는 뜻이다.태양계 진화 과정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현재까지 밝혀진 증거를 토대로 그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진화 시나리오를 만드는데, 소행성 띠에서 ... ...
[Career] 건강장수의 비밀, 초백세시대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이유가 면역세포와, 신호를 수송하는 혈관주위 세포 수의 감소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
를 지난 1월 3일 ‘사이언티픽 리포트’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박 교수는 “혈관 주위 세포 수를 조절하는 물질을 찾으면 수명 연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노화는 유전적 요인이 30% 이하로, ... ...
이전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