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날숨만으로 후두암과 위암 진단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화학성분을 질량분석기에 넣고 분석해, 약 85%의 확률로 암을 진단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
는 지난 1월 29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2017 유럽암학회’에서 발표됐다.연구팀은 후두암이나 위암 진단을 받은 163명과, 내시경으로 봤을 때 문제가 없는 172명 등 총 335명의 날숨 샘플을 ... ...
[과학뉴스] ‘청정구역’ 마리아나 해구까지 오염됐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더 갈 곳이 없다 보니 수치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
는 학술지 ‘네이처 생태및진화’ 온라인판 2월 13일자에 발표됐다 ... ...
[과학뉴스] ‘항문 먼저 입 나중’ 초기 후구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기이한 모습의, 모래알만 한 고대 미생물 화석이 발견됐다. 이 생물은 지금까지 발견된 후구동물(수정란의 초기 배아 단계에서 항문이 먼저 생기고 ... 물고기를 비롯한 다양한 생물종의 초기 단계를 이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
는 ‘네이처’ 1월 30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Issue] 독극물 괴소문의 진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전문가들이 독침이나 독약을 함께 썼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이유입니다. 그러나 부검
결과
가 나와도 살해 물질을 밝히는 건 쉽지 않아 보입니다. 시안산(일명 청산가리)처럼 신경을 마비시키는 신경성 독약은 ‘심장 발작’과 같은 증상은 남기지만 정확한 물질을 추정할 만한 사망 과정은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95%는 24시간 안에 증상이 호전돼 수술 없이 퇴원했다. 또 1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보존적 치료를 한 경우의 75%는 급성 충수염의 재발이 없었다(doi:10.1001/jamasurg.2015.4534).애초에 급성 충수염에 걸리지 않는 방법은 없는 걸까. 파커 교수는 “충수가 있는 다른 동물들은 사람처럼 급성 충수염에 쉽게 ... ...
[Origin] 소리를 지배한 파충류, 지구를 접수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가깝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동물들의 모든 해부학을 현대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 이론은 반박됐는데, 남아프리카의 과학자 요한 웰멘이 1995년에 다시 부활시켰다. 그가 에우파르케리아와 새가 비슷하다고 주장하면서 든 근거 중 하나는, 커다란 타원창(가운데귀와 속귀 사이에 있는 ...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마다가스카르 섬 동부 지역에 사는 또 다른 여우원숭이 세 종도 겨울잠을 잔다는 연구
결과
가 실렸다. 이들 여우원숭이는 나무 구멍이 아닌 땅속에서 겨울잠을 잤다.마다가스카르 섬의 동쪽은 서쪽과 환경이 매우 다르다. 해발 1600~1700m로 고도가 높아 평균 기온이 낮다. 비록 잠시지만 기온이 0℃까지 ... ...
[Culture] 플레이 전략 3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30분 앉아 있을 때마다 5분씩 가볍게 움직여야 혈당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
를 학술지 ‘당뇨치료’ 1월호에 실었다(doi:10.2337/dc15-1240).이 게임을 활용해 야생동물을 관찰하거나 보존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생태 전문가도 있다. 캐나다 궬프대에서 곤충과 생물다양성을 연구하는 모건 잭슨은 ... ...
[Career] 한옥의 매력에 푹 빠진 건축학도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상품화하진 못했다. 전 교수는 “오랜 시간이 걸린 만큼 여러 면에서 완벽한
결과
물을 시제품으로 출시하고 싶다”며 “많은 이들이 모형을 조립하면서 한옥의 건축 방식을 알아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하유재2008년 전 교수가 학생들과 함께 만든 한옥 ‘하유재(何有齋)’다.허남진 철학과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큰 역할을 했다. 다이오드의 전자에너지 장벽을 측정해 이론을 검증한 것이다. 이 연구
결과
는 ‘나노레터스’ 1월호에 발표했다.박 교수는 “스스로 할 수 있어야 유레카의 순간도 경험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연구원들이 숨어 있는 창의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