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나눠 분석하기로 한 계획(과학동아 2000년 12월호 ‘식물게놈프로젝트’ 43쪽 참조)도 전체를 한꺼번에 분석하는 쪽으로 방향을 급선회했다.이미 두 곳에서 게놈 분석이 끝났다. 이런 상황에서 굳이 컨소시엄을 계속할 필요가 있을까.무엇보다도 기업은 자신의 연구 결과를 공개하지 않는다. 염기 ... ...
- 폭력과 자기파괴 일삼는 파월장병 하얀전쟁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대한 공포’라는 정신적인 후유증을 남겼기 때문이다. 전쟁이 남긴 상처는 사회 전체를 한동안 심한 공황상태로 몰고 갈 만큼 매우 깊었다.1차 세계대전 후에도 인류는 제2차 세계대전과 6.25 전쟁, 월남전, 걸프전 등 굵직굵직한 전쟁을 겪었다. 제2차 세계대전 때는 ‘원자폭탄’의 가공할만한 ... ...
- 봄밤 하늘에서 만난 이도령과 성춘향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아크투루스라고 부르는 별로 목동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동방칠사 별자리들은 전체적으로 청룡의 형상을 이룬다. 28수에 들지는 않지만, 동방 청룡이 달고 있는 큰 뿔이 바로 대각성이다.이제 눈걸음을 좀더 이어가면 남쪽 하늘에 노르스름한 밝은 별을 만나게 된다. 바로 각성(角星)이다. ... ...
- 우주탐험의 지상관문 세계의 우주센터과학동아 l2001년 04호
- 함께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꼽힌다.우리나라의 고흥 우주센터도 전체 1백50만평 규모의 전체면적 중 시설 설치에 들어가는 면적은 고작 5-6만평 정도다. 나머지는 안전지역으로 확보된 것이어서 자연환경 보호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케네디 우주센터는 운영의 특성상 나사와 미공군 ... ...
- 대입 면접고사 가이드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아니면 운석 충돌에 의한 것인가요?답 : 운석 충돌에 의한 크레이터라고 알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모양이 화산 분출 때문에 생긴 분화구와는 많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즉 운석충돌 구덩이는 얕은 산으로 둥글게 둘러 쌓이고 안쪽 바닥이 바깥쪽보다 대체로 낮은 반면, 화산 분화구는 작고 깊으며 ... ...
- 유전자 차별시대 펼쳐지는 디스토피아 가타카과학동아 l2001년 04호
- 것이 가능할 것입니다.의준_ 박사님께서는 환경적인 요인이 중요하고, 단일한 사실로 전체로 해석하지 말라고 강조하시는데요. 그렇다면 지금 규명하려는 유전자는 별 의미가 없다는 말입니까.홍박사_ 물론 그런 말은 아닙니다.의준_ 또하나 의문이 있어요. 신체적인 결함이나 유전병이라고 ... ...
- 돈 흐름에 감춰진 물리법칙 금융수학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뉴턴이나 아인슈타인의 업적에 견줄 수 있을 정도로 혁명적이다. 이후의 금융산업 전체를 확 바꿔놓는 기술상의 변화를 가져왔다.이들 연구가 구체적으로 금융에 미친 영향은 크게 두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파생상품의 정상가격이 어떻게 결정될 수 있는지를 수학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이제껏 ... ...
-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요!과학동아 l2001년 04호
- 그의 모습에서 우리는 아무런 인간적 고뇌를 찾아보기 어렵다.하이젠베르크의‘부분과 전체’에서 그려졌던 히로시마 원폭 투하에 대한 오토 한(Otto Hahn)의 처절한 절규, 그리고 원자폭탄 개발 이후 평생을 반핵 운동에 헌신했던 오펜하이머(Julius Robert Oppenheimer)의 반성과 비교해 보면 더욱 그러하다. ...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작고 전력 소모가 적은 전기회로가 등장하게 됐다. 1960년 이후에는 이 전기회로 전체를 한개의 칩 내에 집어넣는 전기회로와 소자의 소형화가 이뤄지며, 혁신적인 정보통신의 시대가 열리게 됐다. 현재의 고집적 칩에는 수억개의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트랜지스터가 들어 있으며, 계속 더 많은 수를 ...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상호작용적은 수로 창조적 활동 수행많은 과학자들은 게놈이 만드는 산물, 즉 단백질 전체를 의미하는 프로테옴(proteome)의 경우 인간이 무척추생물보다 훨씬 복잡하다고 예상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인간을 비롯한 척추동물은 원래 존재하는 단백질의 기능부위, 즉 도메인(domain)만을 고쳐서 새로운 ... ...
이전4794804814824834844854864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