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지개 소녀의 아주 특별한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색깔이 변하는 걸 알 수 있어.손전등으로 무지개 만들기과학원리 뛰어넘기빛은 통과하는
물질
인 매질에 따라 진행속도가 달라져서 꺾이게 되는데 빛의 색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진다. 보라색빛은 빨간색 빛에 비해진행속도가 느리고 가장 많이 꺾인다. 즉, 프리즘 역할을 하는 수많은 물방울에 의해 ... ...
마법학교 비밀 편지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과학 상식 뛰어넘기 - 지시약어떤 용액이 산성인지 중성인지 염기성인지 알려 주는
물질
을 지시약이라고 한다 .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은 산성일 때나 중성일 때는 아무 변화가 없지만 염기성 용액을 만나면 붉은색으로 변한다. 수산화나트륨은 염기성 용액으로 미끈미끈한 성질을 가지는데 ... ...
백성을 위해 과학을 사용한 정조와 정약용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보고 있노라면 우리 조상들의 과학적인 건축 기술에 감탄이 절로 나온답니다.특히
물질
의 상태가 변할 때 부피도 변한다는 것까지 예상해 성벽의 틈에 끼워 놓은‘ 눈썹돌’은 우리 조상만의 독창적인 과학 기술입니다. 성벽 틈사이로 물이 스며든 채 겨울을 지내다 보면 물이 얼었다가 녹으면서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이 만화를 보고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말이 달리면 말꼬리는 뒤쪽으로 뻗지만 혜성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혜성의 꼬 ... 아닙니다. 혜성의 꼬리는 항상 해의 방향 반대쪽으로 뻗는답니다. 이것은 혜성의 꼬리를 이루는
물질
들이 태양풍에 밀려 뒤쪽으로 뻗기 때문입니다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작용이 효소적인 것이라고 해석했으나, 실제로는 권패류(卷貝類)의 바티라 정자의 작용
물질
은 한 줄의 사슬로 된 염기성 폴리펩티드(분자량 8,800)이며, 이 분자 약 2,000개가 난막에 결합하면 비로소 난막을 구성하는 무코다당(분자량 500만) 1분자가 난막에서 절단되어 유리된다는 사실이 ... ...
세상의 모든 아픔 치유할 '약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기계적 자극 같은 다른 종류의 통증을 전달하는 채널들을 밝혀내고 그 채널을 차단하는
물질
을 개발하는 게 우선이다.“앞으로 30년쯤 후에는 통증채널을 억제하는 알약 몇 개 먹고 수술받는 시대가 올 겁니다. 의식도 멀쩡히 깨어있으니 수술하면서 책이나 신문도 볼 수 있겠죠? 이런 시대를 우리 ... ...
에이버리의 유전
물질
DNA 확인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제대로 평가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차츰 에이버리의 연구는 DNA가 유전자 구성
물질
이라는 증거를 최초로 제시한 실험으로 인정받게 됐다. 에 이 버 리 는1877년 캐나다 노바스코샤주의 핼리팩스에서 목사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같은해 뉴욕으로 옮긴 뒤 뉴욕메일 문법학교와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적색거성의
물질
을 빨아먹고 있습니다. 이 때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
물질
은 원반모양을 이루며 여기서 엑스선이라고 하는 빛이 나온답니다. 엑스선 알지요? 팔다리가 부러졌을 때 뼈 사진을 찍으려면 바로 엑스선을 이용한답니다. 이 엑스선이 지구신령을 비추었을 때 뼈가 드러나는 것을 상상해 ... ...
도전! 아이스박스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온도를 유지해 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여러 가지
물질
중에서 열을 잘 전달하지 못하는
물질
을 선택하여 아이스박스를 만들고 공기의 대류현상을 막기 위하여 바깥 공기와 내부 공기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각각의 재료의 특징이 있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외부의 공기와 내부의 공기를 ... ...
나무 한 그루가 잎을 통해 할 수 있는 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그 당시 프리스틀리는 산소에 대한 지식은 없었지만 식물이 불이 계속 타오를 수 있는
물질
을 만든다고 생각했다.1770년대 후반 네덜란드 의사였던 얀 잉겐하우스는 식물의 녹색 조직이 빛을 받았을 때만 산소를 만든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와 같이 헬몬트, 프리스틀리, 잉겐하우스가 광합성을 ... ...
이전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