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모든 레고 블록이 서로 잘 맞는답니다. 이 규칙은 초기 레고부터 적용돼 왔기 때문에 30년
전
레고와 지금의 레고도 서로 잘 끼워 맞출 수 있답니다.[가로에 요철이 4개, 세로에 요철이 2개인 블록 2개를 조립할 수 있는 방법은 16개예요. 2×4블록의 모양, 색깔이 다양해질수록 더욱 많은 모양을 만들 수 ... ...
[과학뉴스] 툴리 몬스터의 정체를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몬스터(Tully monster)’라는 별명을 가진 ‘툴리몬스트룸 그레가리움’은 약 3억 년
전
에 존재했던 동물이에요. 특이하게 생긴 외모가 괴물처럼 보인다고 해서 ‘몬스터’라는 별명이 붙었지요. 미국의 아마추어 수집가인 프란시스 툴리가 1955년 미국 일리노이 주에서 처음으로 발견해 그의 성을 따 ... ...
Part 3. 수술부터 공포증까지, VR 치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만들어 속을 살피거나, 수술 환경을 가상현실로 꾸미면 사람의 목숨을 해칠 위험 없이 안
전
하게 의료 훈련을 진행할 수 있거든요.실제로 지난해 12월, 폴란드 바르샤바심장학연구소의 막시밀리안 오폴스키 교수팀은 가상현실로 심장 수술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가상현실을 볼 수 있는 ... ...
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물체를 겹쳐 보여준다. 휴대
전
화 위치 검색을 이용해 목적지까지 길을 찾거나 책을 휴대
전
화 카메라로 찍었을 때 책에 대한 정보가 바로 나오는 기술은 모두 증강현실이다. 가상 이미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증강현실’과 ‘증강가상’이라고 분류하는 학자도 있지만, ... ...
[지식] 엑소 EX’ACT에 드리운 수학 그림자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분위기를 풍기는 정육각형 로고와 ‘Monster’. 3집 앨범의 이름과 타이틀곡을 컴백 일주일
전
에 수수께끼처럼 소개한 것이다. 추리에 익숙한 엑소 팬들은 금세 답을 알아맞혔다. 그런데 과연 이게 다일까? 앨범마다 수수께끼로 화제몰이그동안 엑소 앨범과 티저에 등장한 암호는 엑소 멤버들마저 ... ...
[지식] 재미난 수학이 삶을 바꾸다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문제 푸는 꿈을 꾼 것 같은데요? 어떤 상황은 아니고 문제 자체가 꿈이에요. 얼마
전
에는 특정한 그래프의 성질을 막 써내려 간 노트가 보였어요.”수학자의 직업병?유난히 맞춤법에 민감한 기자처럼 수학자에게도 직업병이 있을까? 박 교수는 어떤 현상을 끝까지 분석할 때가 있다고 말했다 ... ...
[포커스 뉴스] 유
전
자 가위 NgAgo 재현성 논란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실험방법을 공개했다. 하지만 이 역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게 과학자들의 반응이다. 유
전
자 가위를 개발하는 툴젠의 김석중 이사 역시 “NgAgo의 효율이 매우 낮거나 작동하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는 성명서를 통해 진상파악을 위해 절차를 밟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 ...
[포커스 뉴스] DNA에 새겨진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비극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진단 방법과 치료법은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맞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이번 연구는 유
전
자 맞춤형 치료법 같은 현대의학의 혜택을 앞으로 그들도 누릴 수 있게 하는 단초를 마련했다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받아들이는지는 정부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국가적으로 이산화탄소
전
환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선다면 인공광합성 상용화도 앞당겨질 수 있다”고 말했다 ... ...
[News & Issue] 허수의 실체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묘사할 때 굉장히 매력적인 도구다. 특히 매순간 움직이는 방향과 크기가 바뀌는 양자와
전
류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파동함수는 복소수가 거의 필수적이다. 안흥주 DGIST 기초과정부 교수는 “복소수 없이도 파동을 표현할 수 있지만 매우 복잡한 형태가 될 것”이라며 “복소수는 위치와 방향을 한 ... ...
이전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