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돼 보실래요?과학동아 l2016년 09호
- “2006년경에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에 연구자들이 모여, 앞으로 우리가 해결해야 할 도전적인 연구를 고민하는 자리가 있었습니다. 그때 컴퓨터 분야에서 미래의 중 ... 때문에 사이버물리시스템이 우리 삶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과학자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적인 고민이 필요합니다” ... ...
-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소개한다. 3만2000년 전 선사시대의 인류가 달의 모양이 바뀐다는 사실을 안 순간부터 50년 전 닐 암스트롱이 달 표면을 밟을 때까지, 장구한 천문학의 역사를 되짚는다.이 책이 특별한 건, 이 발견들을 직접 실험하면서 체현하는 방법을 알려준다는 점이다. 천체 사진가이자 우주 칼럼니스트인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 폭발 위기에 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처럼 거대한 화산을 포함해 화성에는 다양한 화산이 있어요. 하지만 모두 아주 오래 전에 만들어진 것들로, 지금은 화성 내부의 열이 식어서 그 어떤 화산활동도 일어나지 않지요.반면 금성은 지금도 활발하게 폭발하고 있는 화산이 아주 많은 행성이에요. 지름이 100km이상인 화산만 167개가 ... ...
- [지식] 엑소 EX’ACT에 드리운 수학 그림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분위기를 풍기는 정육각형 로고와 ‘Monster’. 3집 앨범의 이름과 타이틀곡을 컴백 일주일 전에 수수께끼처럼 소개한 것이다. 추리에 익숙한 엑소 팬들은 금세 답을 알아맞혔다. 그런데 과연 이게 다일까? 앨범마다 수수께끼로 화제몰이그동안 엑소 앨범과 티저에 등장한 암호는 엑소 멤버들마저 ... ...
- Part 2. 마녀와 악마의 곡선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곡선홀가분한 마음으로 집을 살펴보던 천사의 앞을 또 한 번 악마가 가로막았어요. 방금 전 순식간에 사라졌던 악마, 벨페고르였어요. 벨페고르는 실로 연결한 두 막대를 양 손에 쥐고 손을 움직이며 놀고 있었어요. 막대를 잇는 실에는 장구처럼 좌우가 똑같은 물체가 달려 있었지요. “너는 나와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것이 아치댐이다. 터널이나 다리에서 많이 쓰이는 아치구조는 인장력(당기는 힘)이나 전단력(방향은 반대이고 평행하게 미는 힘), 휨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축방향의 수축력만 작용하는 매우 안정적인 구조다. 댐을 건설해야 하는 거리가 비교적 짧은 경우 아치구조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 ...
- [Tech & Fun] 노르웨이극지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방문해볼 만합니다. NPI는 남북극 육상지도를 측량해서 만들고 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때 시작했다고 하니 역사가 50년이 넘네요. NPI에 가면 지도를 제작하는 모든 과정을 생생하게 볼 수 있습니다.여행에 식도락이 빠질 수 없겠죠. 프람센터 안에 구내식당이 있습니다. 샐러드, 고기, 생선, 과일, 빵 ...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모든 레고 블록이 서로 잘 맞는답니다. 이 규칙은 초기 레고부터 적용돼 왔기 때문에 30년 전 레고와 지금의 레고도 서로 잘 끼워 맞출 수 있답니다.[가로에 요철이 4개, 세로에 요철이 2개인 블록 2개를 조립할 수 있는 방법은 16개예요. 2×4블록의 모양, 색깔이 다양해질수록 더욱 많은 모양을 만들 수 ... ...
- D 바이오브릭, 내 맘대로 생물체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목소리가 높아요. 미국의 저명한 합성생물학자 크레이그 벤터가 2009년에 유전체 전체가 합성된 새로운 생물을 만들어내자,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대통령 위원회’에 합성생물이 우리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지와 어떤 위험을 가져올 수 있을지 조사를 요청하기도 했어요. 그만큼 합성생물이 ... ...
- 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물체를 겹쳐 보여준다. 휴대전화 위치 검색을 이용해 목적지까지 길을 찾거나 책을 휴대전화 카메라로 찍었을 때 책에 대한 정보가 바로 나오는 기술은 모두 증강현실이다. 가상 이미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증강현실’과 ‘증강가상’이라고 분류하는 학자도 있지만, ... ...
이전4814824834844854864874884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