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장"(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위해서는 지진이 발생한 지점의 암석샘플을 채취해 물성을 측정하고 실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다. 하지만 해저지각을 10km 이상 시추하는 것은 쉽지 않다. 우리 탐사대가 순다 지진대로부터 수백 km 떨어진 ‘섭입 예정’인 해저 퇴적물에 관심을 갖는 이유다. 이곳에 쌓인 두께가 약 1.5km인 퇴적층이 ... ...
- Part 1. 지구 속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짐 러블, 잭 스와이거트, 프레드 헤이즈는 가장 먼 우주까지 다녀온 사람이 됐다.10km가장 깊이 간 사람서태평양에 있는 마리아나 해구는 깊이가 10km가 넘는 바다다. 1960년, 스위스의 해양학자 자크피카드와 미국 해군 중위인 돈 월시는 잠수정 ‘트리에스테’를 타고 이곳의 바다 밑에 도착했다 ... ...
- Part 1. 1월 1일, 1초가 늘어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지구와 표준시계의 차이, 윤초를 만들다!윤초는 하루 24시간에 1초를 더하는 걸 말해요. 1초를 더하는 이유는 전세계가 기준으로 삼고 있는 시간과 ... 계속 보시려면?Intro. 시간의 기준을 찾아라!Part 1. 1월 1일, 1초가 늘어난다!Part 2.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 ...
- [도전! 코드마스터] SW를 지켜라 백신 프로그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해커이자 백신 프로그램 제작자인 ‘번트 픽스’(왼쪽 사진)를 꼽아요. 번트 픽스는 가장 처음으로 문서 기록이 남은 백신 프로그램을 만들었답니다. 우리나라의 첫 백신 프로그램은 1988년 당시 ‘안철수 연구소’에서 발표한 V1이에요. 이 프로그램은 80년대 후반 바이러스 ‘(C)Brain’을 없애는 데 큰 ... ...
- 수학자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는 방법수학동아 l2017년 01호
- 피그미는 키가 약 2.2m, 몸무게가 약 2.5톤으로 아시아 코끼리보다 30% 정도 작다.세상에서 가장 큰 냉장고는 스위스 제네바의 땅 속 100m에 있다. 바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대형강입자충돌기(LHC)다. 양성자가 1초당 10억 번 충돌하도록 설계한 입자 가속기인 LHC는 1만 톤의 액체질소로 영하 193. ... ...
- [수학명언 책갈피] “수학은 과학의 여왕이고, 수론은 수학의 여왕이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것 같습니다.프랑스의 위대한 수학자 피에르 시몽 라플라스는 가우스를 두고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수학자”라고 평가했습니다. 당시 독일이 프랑스의 적국이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가우스가 얼마나 뛰어난 수학자였는지 짐작할 수 있겠죠 ... ...
- [소프트웨어] 올바른 인터넷 문화 세운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있는 음악인지 확인하고, 자연스럽게 저작권의 중요성에 대해 배웠다.매곡중 학생들이 가장 먼저 기획한 프로젝트는 정보 통신 윤리에 관한 것이다. 먼저 스크래치의 기본 기능을 배운 뒤 개인 정보, 네티켓, 저작권, 컴퓨터 보안에 관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제작했다. 학생이 만든 결과물은 다른 ... ...
- [과학뉴스] 루비와 사파이어 바람이 부는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P-7b’라는 거대한 가스 행성의 대기에서 반사되는 빛을 모니터링 했다. 그 결과 행성의 가장 밝은 지점이 시간에 따라 이동했다. 이는 행성의 대기 현상이 매우 심하게 변동한다는 것을 나타낸다.이를 토대로 연구팀은 행성의 대기에 대한 모델을 세웠다. 행성의 한쪽에서 형성된 구름이 엄청나게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한 번 놀라게 했다. 인공지능이 이제 우리 생활에 성큼 들어온 셈이다.최근 인공지능이 가장 빨리 상용화되고 있는 분야는 ‘음성기반 대화형 개인비서 로봇’과 ‘챗봇’ 분야다. 2011년 애플에서 ‘시리’를 내놓은 이듬해, 구글은 지능형 개인 비서 ‘구글 나우 서비스’를 시작했다. 2014년에는 ... ...
-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힐러리 클린턴과 더 연관이 높다”는 예시를 들며 “번역 시스템은 벡터를 기반으로 가장 유사성이 높은, 번역될 확률이 높은 단어로 번역한다”고 밝혔다. 학습하면서 번역을 하는 데 중요한 요소들에 가중치를 부여해 정확도를 높이기도 한다.인공신경망, 인공어를 만들다? 번역의 정확성이 ... ...
이전4814824834844854864874884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