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장"(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끝나면 식사를 하고, 배 안에 갖춰진 체육관에서 운동을 했죠.무엇보다도 맨틀 시추가 가장 기대되는 부분이에요. 맨틀 시추가 가능해지면 실제로 확인할 수 없었던 지구에 대한 많은 가설들을 증명할 수 있을 거예요.또한 지큐호를 이용해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에 미리 지진계를 설치하면 ...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무게는 7톤, 머리 길이는 1.3m나 되는 거대한 육식공룡이에요. 당시 생태계 먹이사슬에서 가장 상위에 있던 공룡으로, 초식공룡을 주로 잡아먹었지요.구덩이의 크기와 모양은 이 지역에서 발견된 아크로칸토사우루스의 발자국과 매우 비슷했어요. 하지만 발자국과는 조금 달랐지요. 자세히 살펴본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스스로 움직이는 인형 ‘오토마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캠과 돌기의 간격이 일정한 기어를 그리기 위해서는 작도법을 알아야 한답니다.작도의 가장 기본은 원을 똑같은 간격으로 8등분하는 거예요. 우선 컴퍼스로 원을 그린 뒤,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그으면 2등분이 된답니다. 이 직선과 방안자의 눈금을 일치시킨 채로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2017 아무도 몰랐던 문제가 온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세상에서 가장 수학적인 네티즌의 축제, ‘폴리매스’! 폴리매스는 출제자도 아직 답을 모르는 문제를 온라인에 공개하고, 이 문제에 관심이 있는 누구든지 자신이 생각한 풀이법을 댓글로 달고 의견을 나누는 프로젝트입니다. 수학자 사이에서 각광받는 연구 방법이기도 하지요.폴리매스 ... ...
- 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파촌 천체관측단지에 LSST(대형 시놉틱 관측 망원경)의 설치가 완료될 예정이다. LSST의 가장 큰 장점은 3일에 한 번씩 남반구의 전 하늘을 관측할 수 있는 능력이다. 좁은 곳을 자세히 관측하는 허블 망원경으로는 120일 정도가 걸리는 일이니 얼마나 빠른지 짐작이 간다.LSST의 주요 목적은 ... ...
- [과학뉴스] 갑각류 중 가장 힘 센 동물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어류가 입을 다무는 힘보다 더 강하고, 악어를 제외한 육상동물 중 체질량 대비 힘이 가장 세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연구팀은 “다른 동물들이 쉽게 먹을 수 없는 코코넛을 먹기 위해 강력한 집게발을 갖도록 진화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 ...
- [Future] 뉴욕 월드 메이커 페어를 가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보고 즐겼으며, 워크숍 등에 직접 참여하면서 메이커 문화를 체험했다.전시에서 가장 눈에 띄는 행사는 다양한 3D 프린터를 전시한 ‘3D 프린터 빌리지’와 드론을 직접 만들어 보는 ‘빌드 유어 드론’, 그리고 드론 비행 대회인 ‘드론 레이싱’이었다. 최근 이들 기술이 메이커들 사이에 얼마나 ... ...
- [Future] 1초를 둘러싼 전쟁, 윤초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계속 느려질 것이기 때문이다. 달과의 조석 마찰이 지구의 자전속도를 변화시키는 가장 큰 요인이다(이는 앞서 음의 윤초가 실시된 적이 없다는 말을 설명해준다).2005년부터 미국, 호주, 프랑스, 독일 등은 윤초를 폐지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윤초 제도 때문에 발생하는 피해와 비용 부담이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못했고, 시스템 단위의 아키텍처 설계 또한 지연되고 있습니다. 3진법 소자 개발이 가장 우선이지만 그 다음 단계의 연구까지도 함께 이뤄져야 3진법의 패러다임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0과 1을 넘어서, 3진법 엔지니어링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 ...
- Part 4. 암흑물질, 버리거나 취하거나?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꼭 필요해진다.거대 규모에서 암흑물질의 존재를 암시하는 관측 증거는 여럿 있다. 가장 유명한 사례가 2006년 허블우주망원경과 찬드라 X선 위성이 관측한 총알 은하단이다. 이 은하단은 최근에 고속 충돌을 겪은 두 개의 은하단이다. 두 망원경으로 동시에 관측해 질량 분포를 알아낸 결과, 우리가 ... ...
이전477478479480481482483484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