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과학동아 l1999년 06호
-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행성의 광도가 크면 행성이 별을 직접 가리지 않더라도 행성의 위치에 따라 별과 행성을 합한 광도가 변화하므로 행성의 존재를 유추해낼 수도 있다. 즉 행성은 스스로 빛을 못내고 별의 빛을 받아 빛나므로 행성이 별 주위를 돌면서 별빛을 가리면 어둡고, 별빛을 반사해 ...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과학동아 l1999년 06호
- 행성이? - 일반상대론 나오자 사라져영국의 천문학자 존 아담스와 함께 해왕성의 위치를 예언한 프랑스 수학자 르바리에는 1860년 한 강연에서 수성의 궤도가 약간씩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수성 안쪽에 다른 행성이 있거나 소행성대가 수성궤도 안쪽에 존재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 ...
- 초여름 밤하늘은 구상성단 풍년과학동아 l1999년 06호
- 정도로 가장 밝았고 거의 1년이 지나서야 육안에서 사라졌다고 한다.뱀자리Serpens● 대략위치: 적경= 16시 55분, 적위= 5도●자정남중: 뱀머리 5월 27일, 뱀꼬리 7월 4일●크기: 637도, 23위 (1.544%)● 별 수: 36개뱀자리는 땅꾼자리의 양쪽으로 ‘뱀머리’(Serpens Caput)와 ‘뱀꼬리’(Serpens Cauda) ...
- 동강의 땅 밑이 심상치 않다과학동아 l1999년 06호
- 만들어진다고 본다.그런데 최근 일본 열도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일본이 설치한 지구위치정보시스템(GPS) 최근 자료에 따르면 일본 열도는 해마다 서쪽 즉 한국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원래 일본은 3-4천만년 전까지 한국 남동부에 붙어 있다가 떨어져 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지질학계의 한 ... ...
- 인도의 우주개발과학동아 l1999년 05호
- 개발은 1969년 8월 인도우주연구기구(ISRO)가 들어서면서부터다. 이어 1971년 인도 남동쪽에 위치한 스리하리코타섬에 샤르발사기지가 만들어지고, 이듬해 총리 자문기관인 우주위원회와 행정기관인 우주부(DOS)가 생기면서 우주개발에 큰 힘이 실렸다.방갈로르에 자리잡고 있는 ISRO는 미국의 ... ...
- Ⅰ. 피라미드, 스톤헨지 그리고 판테온과학동아 l1999년 05호
- 예를 들면 스톤헨지 내에 있는 여러 개의 삼각형들 가운데 어떤 한 삼각형에 태양의 위치가 일치했을 때 이들은 파종을 했을 것이다.고대인들은 이미 태양의 궤적을 읽어내고 자연의 흐름을 물리적으로 추적해내는 계산판을 땅 위에 축조해 놓았다. 나아가 스톤헨지의 동심원 구도는 태양계 행성의 ... ...
- 물고기에도 나이테 있다과학동아 l1999년 05호
- 하는 에나멜층이다. 이는 석회화된 조직으로 인체조직 중 제일 단단하다. 법랑질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상아질(dentin)이다. 치아를 가장 많이 형성하고 있는 조직으로 법랑질 다음으로 단단한 석회조직이다. 상아질의 안쪽은 치수강(pulp cavity)으로 신경, 혈관 등이 자리하고 있는 빈 공간이다. ... ...
- 은하수 너머의 우주 외부은하과학동아 l1999년 05호
- 속한 국부은하군은 처녀자리 은하단이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국부 초은하단의 외곽에 위치하고 있다.은하들의 모양 내기1936년 허블은 여러 모양의 은하들을 타원은하, 나선은하, 막대 나선은하, 불규칙은하의 4가지 범주로 나누었다. 핵과 그 주위를 소용돌이 모양으로 휘감고 있는 나선팔로 ... ...
- 우리별 3호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1999년 05호
- 대행해 줄 수 있을 만큼 자생력을 갖췄다는 말이 된다.둘째는 인공위성연구센터의 위치를 확고하게 했다는 것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소가 아리랑과 같은 다목적 실용위성을 개발하는 곳이라면, 인공위성연구센터는 위성 개발인력을 양성하고 소형 과학실험위성을 만드는 벤처 노릇을 함으로써 두 ... ...
- Ⅱ. 황금비가 구현된 무량수전과학동아 l1999년 05호
- 벽면에 빗물이 들이치지 않게 하는 역할도 한다. 때문에 처마는 내부공간보다 높은 위치에서 멀리 밖으로 튀어나가 있어야 한다. 가령 처마가 기둥 위에서 바로 앞으로 뻗어나간다면 여름과 겨울 가릴 것 없이 내부 공간에 그늘을 만들기 때문이다.또한 무거운 지붕을 기둥 밖으로 뻗어나가게 하기 ... ...
이전4814824834844854864874884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