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마추어천문 단계별 입문법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보면 빠져들지 않는 사람이 없다. 더구나 별자리를 알면 그 재미와 감동은 더욱 커진다.
조금
만 노력하면 누구나 될 수 있는 아마추어천문가. 별자리 익히는법, 망원경 구입 등 그 입문 방법을 소개한다.1. 별자리 익히기어두운 밤 별여행을 떠날 때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이 별자리를 익히는 일이다. ... ...
4. 5감통신의 한계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비볐을 때의 촉감을 통신망에 올린다는 것이 가능할까.촉감에 비해 후각은 상황이
조금
나은 편이다. 냄새의 원인물질을 분석하고 이를 지각하는 센서를 만들면 되기 때문. 또한 받는 쪽에서는 냄새발생기를 부착하고 전달돼온 신호에 따라 원인물질을 자극하면 된다. 그러나 냄새를 발생하는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웬만한 집이라면 하나씩 있을 것이다. 프로야구를 볼 때 경기장에서 선수의 모습을
조금
이라도 자세히 보기 위해 눈에 들이대는 쌍안경이면 혜성관측에 충분하다. 아마추어들이 흔히 사용하는 7×50이나 8×50 정도의 쌍안경이라면 그야말로 더 바랄 나위가 없다.쌍안경은 배율이 낮아 상이 밝을 뿐 ... ...
신경세포간 대화부족 해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1951년 이소니아지드를 발견한 로슈연구소의 하이만 폭스와 존 지바스는 이 약의 구조를
조금
바꿔 더 좋은 결핵약을 찾고자 했다. 곧 이프로니아지드가 합성됐고 이 물질은 효과가 더 강했다. 효능면에서는 이프로니아지드가 좋았지만 독성, 부작용면에 문제가 있었다.1952년 두 약을 동시에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받아들인다. 여왕개미는 이를 저정낭(spermatheca)이라는 정자주머니 속에 평생 저장해 놓고
조금
씩 꺼내 알을 수정시킨다.잎꾼개미 여왕들은 과연 얼마나 오래 살까. 자연 상태에서 어떤지 정확히 모르지만, 하버드 대학 연구실에서 키우던 여왕개미는 그곳에서만 최소한 14년을 살았다. 생리학적으로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구별할 수 있는 성능을 지녀야 한다. 지구 반지름이 6천3백78km이므로, 1만km는 지구 지름에
조금
못미치는 거리다. 만일 베텔쥬스를 태양 위치에 갖다 놓는다면 이 초거성(red supergiant)의 대기는 목성궤도까지도 삼켜 버릴 것이다. 최초로 발견된 자외선 레이저레이저(laser)는 'Light Amplification by Stim ...
21세기 영상혁명, 컴퓨터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불러낸다. 전통적인 애니메이션의 경우 자연스런 동작을 만들기 위해 프레임마다
조금
씩 달라진 그림을 일일이 그려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표현이 힘들다. 스톱모션 애니메이션도 마찬가지.그러나 컴퓨터로 인물을 만들고 그 인물이 할 수 있는 동작을 입력해 놓은 다음 필요할 때마다 화면으로 ... ...
3. 전통과 첨단의 앙상블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단장을 미처 끝내지 못한 상태. 하지만 대부분 3월이나 6월 사이에 공개될 예정이므로
조금
만 기다리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사이트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이 사이트들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도 상당히 다양하다. 우선 공보처에서 외국 손님들을 위해 영어로 한국의 문화와 풍습에 대해 소개하는 ... ...
1. 일상에서 첨단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일정한 값을 갖는다. 그러나 대개는 소량의 불순, 특히 계면활성제와 같은 물질이
조금
이라도 섞여있다면 그 값은 크게 달라진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해 물질의 기본적 성질에는 큰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표면장력의 값을 바꿀 수 있다.한 예로 작은 이슬방울이 나뭇잎에서 맺혀있다고 하자. 이때 ... ...
당신의 발은 어떤 모양입니까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모양이다. 지역에 따라 발가락의 형태가 다른 이유는 사는 곳의 조건에 따라 유전형질이
조금
씩 변한 결과라고 생각된다.그런 연유인지는 몰라도 발가락의 길이에 따라 발을 분류할 때는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에 비해 유난히 긴발을 '이집트인 발' 이라고 하고, 엄지와 둘째의 길이가 비슷하면 ... ...
이전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