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2000년을 넘나드는 별지기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들어왔는데 영조는 망원경을 깨뜨리라고 명령한다. 망원경을 이용하면 일식이나 월식을
100
년 후까지 예측할 수 있는데 이는 왕권을 약화시킨다고 우려했기 때문이다.비슷한 시기에 일본은 서양과 비슷한 수준의 망원경을 만드는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안 박사는 “조선이 1910년 일제의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만들어졌다 소행성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많으며 1km 이상인 소행성이
100
만개 정도 있다 소행성은 암석과 금속이 약한 중력으로 뭉쳐져 있다 모양은 울퉁불퉁한 감자를 닮았다 자전 또는 텀블링을 하면서 태양 주위를 돈다확률 이론의 하나인 베이지안이론을 기계에 적용시켜 ... ...
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에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수 있는 천문대와는 달리 우주의 전방위를 관측할 수 있다.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고 0.75~
100
0μm인 적외선은 눈에 띄지 않는 천체가 보내는 일종의 메아리다. 디텍터(탐지기)로 수집한 적외선 영상은 차고 어두운 먼지층에 가린 천체나 항성보다 상대적으로 표면온도가 낮은 행성, 우주의 방랑자 혜성, ... ...
고대의 하이테크 국가 백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그 정교한 모습을 어떻게 통째로 주조했는지 놀랍다. 금이 수은에 잘 녹으며 수은은
100
℃ 이상에서 모두 날아가 버리는 성질을 활용한 금동아말감법은 백제의 하이테크 도금기술이었다.신기술이 집약된 이 향로는 전체적으로 창의성과 조형성이 뛰어나고 세부표현에 생동감이 넘쳐흐른다. 또 ... ...
에너지 독립국가 건설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오전 7시 30분까지 연구소에 출근한다. 불과
100
년 전에는 인간의 행동반경이 기껏해야
100
km 안팎이었지만 지금은 지구 전체가 일일생활권에 들어있다. 조금이라도 시간을 낭비하면 이 경쟁사회에서 낙오하고 만다는 생각 때문에 그는 끊임없이 움직인다. 남들이 휴식을 취하는 새벽과 저녁이 장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에서는 스페이스쉽원이 라는 민간우주선으로 고도
100
km까지 도달하며 우주여행 시대의 장을 열었다. 따라서 본격적인 상업 우주여행의 시대는 2010년경이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계적 추세를 감안하더라도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기술 수준으로 ... ...
외계행성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미국 제트추진연구소가 추진하고 있는 SIM은 두 대의 지름 30cm 우주망원경으로 구성돼
100
만분의 1초에 이르는 정밀 위치측정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SIM을 이용하면 지구형 외계행성을 찾아낼 수 있다. 세 번째로 NASA가 추진하고 있는 케플러 프로젝트가 있다. 케플러는 2007년 발사를 목표로 건설되고 ... ...
당신의 순간은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폭풍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예컨대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에 있는 원자시계 NIST-7은
100
만년 동안 단 1초의 오차가 생길 뿐이다. 도대체 이렇게 정확한 순간이 무슨 쓸모가 있을까. 하지만 로스앤젤레스시는 NIST-7을 이용해 교통 신호를 작동시킨 결과 교통 정체를 해결했다. 상상하기조차 힘든 짧은 ... ...
삼각뿔 모양 영양 창고 간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때문에 제공자가 환자에게 자신의 간을 60%까지 줄 수 있다. 제공자의 간도 한두 달이면
100
%로 회복된다. 필자가 일하고 있는 아주대 병원의 경우 간이식 수술을 집도한 의사는 수술 후 2주 정도 충분히 휴식한 다음 다른 간이식 수술을 한다. 그만큼 간이식은 어렵고 힘든 수술이다 ... ...
사라진
100
원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계산하면 그렇다는 것은 알겠는데, 왜 문제처럼 계산하면
100
원이 비느냐”고 꼭 되물어 온다.물론 ‘처음의 계산이 엉터리니까 그렇게 하면 안 된다’가 답이다. 하지만 여기에 대한 설명이 별로 없다 보니 수학의 모순이라도 발견한 양 들떠서 온갖 억지스런 해석을 갖다 ... ...
이전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