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패션70s VS 패션00s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그러나 아직까지 디지털 염색기법은 가로세로
100
~200야드(
100
야드=91.44m) 정도 분량의 원단으로 소량생산하는데 적합하다. 수천야드 이상 대량생산할 경우 재래식 염색공정보다 비용이나 시간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는 게 디지털 염색기법의 향후 과제.‘패션7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보도된 것만 400회를 넘었다. 2002년 애틀란티스와 엔데버, 2003년 컬럼비아는 발사 전 각각
100
회 안팎이었다. 향후 우주왕복선 계획 전체가 디스커버리의 부활 여부에 달려있기 때문이다.최초 달 탐사만큼 중요해지난 2년 6개월 동안 우주왕복선이 지구에 발이 묶인 사이 왕복선의 인기는 사그라졌다. ... ...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태양에 3AU 정도로 가까워지면 태양열에 혜성 핵에 있는 물질이 증발하면서 지름이
100
만km나 되는 거대한 구름인 코마와 1억km나 되는 긴 꼬리를 만든다. 이것이 우리가 보는 혜성이다.태양계의 기원 물질을 간직한 채 태양을 방문하는 혜성은 장주기 혜성이다. 템펠1 혜성은 단주기 혜성이다. 장주기 ... ...
바다의 왕자 로봇 물고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기계도 물속에서 이와 같은 성능을 보여주지 못한다. 1.5m도 되지 않는 황새치가 시속
100
km로 헤엄치는 것과 같은 높은 효율을 가진 추진장치는 인간이 아직 만들지 못하고 있다. 복어처럼 느리게 헤엄치는 물고기는 아주 작은 지느러미를 이용해 자신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복어가 ... ...
귀신 잡는 첨단 해병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6월 21일 오후 경북 포항시 해병대교육훈련단에 해병
100
0기 509명이 입소했다. 과거 해병대가 불굴의 정신을 바탕으로 온몸을 던져 싸웠다면 미래 해병은 나노, 정보 기술 등을 접목한 첨단 무기를 통해 과학으로 싸우는 최정예 부대가 될 것이다. 귀신도 무서워하지 않는 첨단 해병의 모습을 살펴보자 ... ...
01. 다시 태어나도 이공계 가겠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상대성이론을 발견한 알버트 아인슈타인(43명)을 가장 많이 들었다. 올해가 상대성이론
100
주년이었던 것도 ‘아인슈타인 몰표’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어 장영실(14명)이었으며 3위로 마리 퀴리(13명), 황우석 서울대 교수(13명)가 손꼽혔다. 살아 있는 한국인 과학자로는 황 교수가 가장 높아 ... ...
쿼티 vs 드보락 자판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400개는 충분히 칠 수 있어 타자일의 70%를 해결할 수 있었다. 반면 쿼티 자판으로는 32%인
100
개밖에 치지 못했다. 드보락 자판은 공학적으로 합리적이고 우수한 기술이 틀림없었다. 그런데 불행히도 드보락은 쿼티 자판보다 뛰어나다는 점을 입증하는데 실패했다.드보락 교수는 자신의 자판이 ... ...
기상천외한 생물들이 여기 다 있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수 없는 환경에서 꿋꿋이 버텨내는 주인공은 완보동물. 대사율을 0.01% 이하로 억제해
100
년 이상 살아갈 수 있는 작은 장갑차 모양의 벌레다. 몸에서 수분을 방출한 일종의 가사 상태에 들어가면 전자렌지에 넣어도 죽지 않을뿐더러 극한 조건에서도 끄떡없다.본 적도 들은 적도 없는, 상상을 초월하는 ... ...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露光量)을 결정하기 위한 조건은 피사체의 밝기와 사용하는 필름의 강도 ASA 감도는 ASA
100
또는 200 등으로 표시되는데, 숫자가 2배가 되면 감도도 2배가 된다물체가 유체(流体) 내에서 운동할 때 받는 저항력과, 두 물체가 접촉하면서 움직일 때 물체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힘의 총칭 앞의 경우 항력은 ... ...
미술로 풀어보는 수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팝아티스트 앤디 워홀이 왕년의 스타 메릴린 먼로의 얼굴을 반복해 배열한 작품 ‘
100
개의 메릴린’은 행렬 2개를 연산하는 원리가 잘 드러나 있다. 사물의 근원, 수와 도형8월말까지 서울 안국동 사비나미술관에서 열리는 ‘미술과 수학의 교감전’은 현대 작가들의 작품 속에 숨어있는 수학적 ... ...
이전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