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 핵실험 어떻게 이뤄질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터널 모양의 수평갱도가 결합된 구조일 것으로 추측했다.폭발 순간을 촬영하기 위해
100
만분의 1초까지 찍을 수 있는 X선 고속촬영기도 설치된다. 고속촬영기는 방호유리 뒤에 45。 각도로 설치한 반사경을 통해 핵폭발 직후의 아주 짧은 순간을 찍고 바로 파괴된다. 폭발 영상은 수백~수천m 떨어진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만나 네티즌(누리꾼)이라는 새로운 공동체를 탄생시켰다. 1999년에는 인터넷 이용량이
100
일마다 2배씩 늘어났다. 컴퓨터가 만들어낸 ‘디지털 혁명’이 절정에 달했다.디지털 혁명을 설명하고 예상하는 법칙들도 잇달아 등장했다. 근거리 통신 ‘이더넷’(ethernet)을 발명한 미국의 밥 메트컬프는 ... ...
CSI의 추억 혈의 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수사 외에 정밀한 조직 검사를 병행하고 있다. | 자살인가, 타살인가 |지금으로부터
100
년 전. 경상도 문경군수 김영연에게 한 고발장이 도착한다.‘사또, 제 억울함을 풀어주소서. 며느리가 상놈 정이문에게 겁간당할 뻔했는데 이달 2일 목을 매고 말았습니다. 어찌 상놈이 양반 부인을 겁탈하려 할 ... ...
지구의 거친숨소리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508km였다. 가장 많은 피해는 1925년 발생한 토네이도가 낳았다. 약 3시간 30분에 걸쳐 시속
100
km의 속도로 350km를 전진했다. 695명이 죽고 2027명이 다쳤다.지구에서 가장 넓은 폭포인 남아메리카 이과수 폭포는 길이가 약 1320km나 된다. 비가 많이 내리는 우기에는 유량이 나이아가라 폭포의 2배나 돼 귀가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공유결합력’으로 화합물이 만들어진다.“2차결합력은 공유결합력 세기의
100
분의 1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약하게 서로를 끌어당기는 자기조립 분자가 수십~수백개 모이면 2차결합력은 놀라우리만치 막강해지죠.”결국 보이지 않는 나노분자 하나하나의 미약한 힘이 모여 세상에 존재하지 ... ...
05. 기하급수의 세상에서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컴퓨터에 서 사용할 수 있다. 황의 법칙에 따르면 요즘 휴대전화의 용량이 일반 PC 용량의
100
분의 1정도이므로 7~8년 후에는 휴대전화가 PC의 기능을 대신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이처럼 무어의 법칙이나 황의 법칙은 그 성장의 속도는 다르지만 우리 주변의 디지털 기기의 미래를 전망할 수 있는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기술
100
가지 중에는 ‘생명과 건강’ ‘우주와 지구’가 각각 22개로 가장 많았다.
100
가지 기술 중에는 과학동아 독자들이 훗날 개발할 것도 적지 않을 것이다.순위 ---------- 기술 ---------- 국내 실현 시기1 인공위성 추적 및 감시 기술 실용화 20132 1km 규모 기상관측 위성기술 개발 20143 생물 이용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만들어졌다. 소행성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많으며 1km 이상인 소행성이
100
만개 정도 있다. 소행성은 암석과 금속이 약한 중력으로 뭉쳐져 있다. 모양은 울퉁불퉁한 감자를 닮았다. 자전 또는 텀블링을 하면서 태양 주위를 돈다 ... ...
2005 서울모터쇼를 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지난 3월 제네바 모터쇼에서 첫선을 보인 RS4는 최고출력 420마력, 최대토크 43.9kg·m, 시속
100
km까지 가속시간 4.8초라는 성능을 자랑한다. 아우디의 명성을 드높인 8기통 엔진과 4륜 구동시스템인 콰트로, 차체 무게를 줄이기 위해 사용된 알루미늄 차체가 돋보이는 대표적인 모델.군용차량의 대명사 ... ...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같이 물질을 투과할 수 있다. 오히려 투과 능력은 T선보다 뛰어나다. 그런데 왜 X선이
100
년 동안 지켜온 독보적인 권위가 T선에 의해서 위협을 받을까?X선의 치명적인 약점은 인체에 해롭다는 것이다. T선보다 에너지가 높아서 X선 촬영을 할 경우 방사선이 인체 내의 분자나 원자에 강한 충격을 준다. ... ...
이전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