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여는 행복한 미래생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즐기는 이들이 보였다.집에 돌아가려고 버스 정류장을 찾았다. 부스에 들어서니 “
100
번 버스는 3분 뒤에 도착합니다”라는 메시지가 떴다. 낯선 사람이 와서 여의도 가는 길을 물었다. 요즘도 버스 노선 묻는 사람이 있네. 벽에 달린 모니터에 “여의도”라고 묻자 “160번 버스가 여의도에 갑니다. ... ...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같이 물질을 투과할 수 있다. 오히려 투과 능력은 T선보다 뛰어나다. 그런데 왜 X선이
100
년 동안 지켜온 독보적인 권위가 T선에 의해서 위협을 받을까?X선의 치명적인 약점은 인체에 해롭다는 것이다. T선보다 에너지가 높아서 X선 촬영을 할 경우 방사선이 인체 내의 분자나 원자에 강한 충격을 준다.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만들어졌다. 소행성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많으며 1km 이상인 소행성이
100
만개 정도 있다. 소행성은 암석과 금속이 약한 중력으로 뭉쳐져 있다. 모양은 울퉁불퉁한 감자를 닮았다. 자전 또는 텀블링을 하면서 태양 주위를 돈다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두자리 수의 곱셈을 해내는 KHM 암산법이 등장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지금의 19단을 넘어
100
단에 가까운 계산법이었다. 그러나 이 암산법은 금새 사라졌다. 한 수학 교사는 “수학을 전공한 사람 중에는 19단이 효과가 높다고 말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며 “상업적인 유행이 끝나면 19단도 곧 사라질 ... ...
2005 서울모터쇼를 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지난 3월 제네바 모터쇼에서 첫선을 보인 RS4는 최고출력 420마력, 최대토크 43.9kg·m, 시속
100
km까지 가속시간 4.8초라는 성능을 자랑한다. 아우디의 명성을 드높인 8기통 엔진과 4륜 구동시스템인 콰트로, 차체 무게를 줄이기 위해 사용된 알루미늄 차체가 돋보이는 대표적인 모델.군용차량의 대명사 ... ...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갖는 미국의 과학교육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지르게 만들었다. ‘무중력 우주공간에서 줄넘기를 하면 어떻게 될까?’ 이 문제에 대해
100
명이 넘는 교사들은 제각기 손을 들고 자신이 생각한 해답을 말했다.사람이 줄을 돌리기 위해 줄에 힘을 가하면, 줄도 사람에 대해 똑같은 크기의 힘을 가한다. 중력이 작용하는 지구에서는 사람이 뛰어 ... ...
67시간의 논스톱 세계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가리지 않고 세계 일주와 모험을 즐기고 있다.영국 BBC방송은 포셋에 대해 “5개 분야에서
100
개 이상의 기록을 세웠으며 이중 60개는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모험을 즐기는 만큼 위험도 많아 1997년 열기구로 세계 일주에 도전했을 때는 러시아에 불시착했고 이듬해 도전에서는 폭풍을 ... ...
텅빈 공간에서 발견한 은하 만물상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있는 녀석일수록 과거의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들 가운데 가장 작고 붉은 은하
100
여개는 가장 멀리 있는 은하들이다. 우주의 나이가 겨우 8억살일 때의 모습이다. 우주의 나이가 137억살인 점을 감안하면 무척 어릴 때의 모습임을 알 수 있다. 또 가까운 은하들은 더 크고 밝으며 나선형이나 ... ...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 산삼은 먹거나 비누, 술, 화장품 등에 사용할 수 있다.이 회사는 지리산 심마니에게 산
100
년 묵은 산삼의 조직을 떼어내 배양용기에서 대량으로 생산한다. 백기엽 사장(충북대 원예학과 교수)은 “산삼의 잔뿌리를 10t 규모의 배양기 안에 넣고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면 45~50일 뒤에 15~20배로 ... ...
갈색구름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화학연구로 노벨상을 수상한 크루첸 교수를 비롯해 전 세계의 저명한 대기과학자들이
100
여명 이상 참여하는 대규모 국제공동관측실험이다. 이를 통해 갈색구름의 핵심이 되는 에어로졸의 물리적·광학적·화학적 특성과 대기 중의 분포를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갈색구름이 지구 대기로 ... ...
이전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