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은 어떻게 탄생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거슬러 올라감에 따라 은하가 하나씩 없어지면 높은 밀도와 온도를 피할 수 있다는 줄
거리
를 갖는 우주론이다. 따라서 시간이 제 방향으로 흐른다면 이 우주론에서는 은하가 하나씩 생겨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우주론을 '연속 창생'(Continuous Creation)우주론이라고 부른다."BB(Big Bang)가 맞느냐, CC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 각 은하들이 우리에게서 멀어져가는 속도를 측정하면 허블의 법칙에 따라 그들까지의
거리
를 알 수 있다. 이 자료로부터 우리는 외부은하들의 3차원적 분포를 볼 수 있는 것이다(그림 1).여기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수억광년에 이르는 은하들의 거대구조가 우주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외부은하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멀리 있을수록 분해할 수 있는 한계의 실제
거리
가 크다. 1pc 떨어진 곳에서 1초의 실제 길이는 약 20만분의 1pc인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
(1천문단위)에 해당된다. 우리은하 중심에서 1초의 길이는 약 0.05pc이고, 안드로메다은하에서는 3pc, 처녀자리 ... ...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어느 동물이 우리가 상상했던 수준보다 생각하는 능력이 높음을 발견할 때면 뉴스
거리
로 취급하곤 했다.또 우리 두뇌와 해부학적 구조가 많은 경우 타 동물보다 더욱 지능적이라고 인정해 왔다.(우리는 식물이 지능이라고는 전혀 갖추지 못했으며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이 없다는 점을 기쁘게 ... ...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특이한 경우는 처녀자리은하단내에 있는 NGC 4486(M87)이다. 우리로부터 약3백20만광년의
거리
에 있는 이 은하는 아주 강한 전파원이지만 오래 노출된 사진 건관상에는 정상적인 타원은하(E0)이다. 그러나 노출시간을 짧게준 건판에서는 은하중심으로 부터 세부분으로 나뉘어진 제트(jet)가 분출되고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헤엄치는 백조의 모습처럼 보인다. U자형의 모양 때문에 오메가(Ω)나 말굽으로 불린다.
거리
는 정확하지는 않으나 수천 광년 정도로 생각되고 있다.4. 사수자리성단(M 24, NGC 6603, RA 18h 18m, Dec -18˚30')작은 영역 속에 1백만 개 이상의 별들이 모여 있다. 쌍안경을 이용하여 관측하기에 아주 좋은 대상이다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하구의 의주성에서 강건너편에 있는 오랑캐들에게 사용했는데 이로 미루어 보아 사정
거리
는 1.5~2km는 됐던 것으로 추측된다.신기전의 구조는 약통과 발화통(폭탄) 그리고 길다란 안정막대로 구성돼 있다. 발화통을 약통 윗면에 올려놓고 도화선으로 약통에 연결한 것은 목표물에 도착했을 때 ... ...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잴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2}$)${P}^{2}$=(4${π}^{2}$/G)${a}^{3}$ (12)이 된다. 단 여기서 a는 (그림 3)에서 처럼 두 행성 사이의
거리
가 된다. 식 (12)는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서 상세히 다루어져 있으나 각자 유도하여 보기로 하자. 식 (9)는 식 (12)에서 ${M}_{1}$+${M}_{2}$=${M}_{⊙}$+m≒${M}_{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10억 km보다 작아 현대천문학의 수준으로는 그 구조를 볼 수가 없다(은하중심까지의
거리
가 3만광년인 것을 생각하면 궁수 A의 모습을 보고자하는 것은 마치 서울에 있는 사람이 부산에 있는 작은 개미 한마리의 모습을 보고자 하는 것과 같다). 특이한 점은 궁수 A는 이 지역의 모든 가스가 빠른 ... ...
우주탄생의 잔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1의 차이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 결과에도 두가지의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렇게 각
거리
에 상관없이 온도차이가 일정하다는 것은 바로 우주초기에 인플레이션 현상이 있었고 물질의 불균일성이 이 당시 불확정성의 원리에 의해 야기됐을 경우 예측되는 결과인 것이다. 이 가설은 이론적으로 ... ...
이전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