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리"(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잔치과학동아 l1992년 04호
- 대략 2천5백만 광년으로 가장 가까운 은하인 안드로메다은하보다 12배 이상이나 먼 거리에 놓여 있다. 이 은하는 1871년 프랑스의 천문학자 메체인(P. Mechain, 1744~1804)에 의해 발견됐으며 1784년 메시에에 의해 그의 목록에 추가되었다.M104는 옆면으로 보이는 은하의 가장 멋진 예이며, 나선 은하와 타원 ... ...
- 망원경제작의 1인자 이만성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엔지니어이만성씨는 서울신탁은행에서 과장대우로 일하고 있다. 학교도 망원경과는 거리가 먼 법과대학을 나왔다. 이러한 경력의 그가 아마추어 망원경 자작자로 정상에 있는 까닭을 밝히기 위해서는 그의 어린시절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양정중학 1학년 다닐 때입니다. 서울역 부근에서 성능이 ... ...
- 위험을 알 권리과학동아 l1992년 04호
- 공장의 폭발사고등 크고 작은 수많은 사고들을 기억 속에서 쉽게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거리에서 위험물 표시를 달고 질주하는 트럭을 만날 때마다 도화선이 연결된 거대한 폭탄을 연상하게 된다면 그리 유쾌한 일은 아니다. 안전장치가 빠진 폭발물에 안전핀을 끼우는데는 우리 모두의 큰 결심이 ... ...
- (1) 생명의 신비 추적, 구조식 그린다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알아내는 연구사업이라 할 수 있다.유전자지도 작성기술 10가지 이상인체게놈은 일직선 거리가 약 1.5m이지만 실제로 눈으로 볼 수 없는 분자수준의 생물 유전정보물질들의 집합이다. 이렇게 미세한 물질을 분석해 유전정보를 찾아내고 염색체 위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정하는 작업이 생각처럼 간단히 ... ...
- 원자력에너지의 두기둥, 어떻게 다른가?과학동아 l1992년 04호
- 가동시켜 주로 학술적 연구를 하고 있는데 규모가 작아서 경제적인 에너지원과는 거리가 멀다.고독을 즐기는 핵을 유혹해우리의 목표는 많은 핵들이 충분한 속도를 지닌 채 서로 충돌, 보다 규모가 큰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방출 된 에너지가 더 많은 핵들을 가속시켜 ... ...
- 드링크제 만능피로회복제인가과학동아 l1992년 04호
- 할 수 있다는 데는 대부분이 동의한다.오랜시간 밤일을 한 근로자들, 짜증나게 막히는 거리를 장시간 운전하는 기사들, 과로 과음에 시달리는 샐러리맨들, 공부하다 지친 학생들이 애용하는 드링크지만 이를 올바로 선택하고 적절히 이용하는 문화는 정착 돼 있지 않은듯하다. 드링크라면 무조건 ... ...
-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하늘에 뜨는 이유과학동아 l1992년 04호
- 다르게 된다. 적위(δ)는 2월호 (그림7)에서 정의되었던 것처럼 천구의 적도로부터의 각거리를 의미한다.예를 들어 하지 때 태양의 적도좌표는 α=${6}^{h}$, δ=+23.5˚이므로 태양은 천구의 적도로부터 북쪽으로 23.5˚ 더 올라간 곳에 위치한다. 따라서 태양은 이 날 마치 δ=0˚인 별처럼 행동한다.여러 ... ...
- 몸무게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우리 주변을 돌아보면 뚱보와 홀쭉이들이 수두룩하다. 이들은 모두 정상체중과는 거리가 먼 사람들이다. 그렇다면 나는 어느 쪽에 속할까? 간단히 알아보는 방법이 있다. 자신의 키에서 1백을 뺀 수치에 0.9를 곱하는 브로카의 공식에 대입해보는 것이다. 그런데 이 공식은 키작은 사람들에게 다소 ... ...
- (3) 정박아 기형아 낳을 위험성 높아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위로 올라가 있고, 귀는 작고 약간 아래쪽으로 붙어있고, 콧등이 낮고, 두 눈 사이의 거리가 멀며, 혀가 길어서 입이 열려 있고, 손가락과 발가락이 짧다)와 발육지연 등이 나타난다. 환자는 보통 수명이 짧은 편이며 70%가 2, 3세 안에 사망한다.그러나 내장에 심한 기형이 없고 또 심한 감염증에 ... ...
- (6) 유전공학의 새로운 총아로 각광과학동아 l1992년 04호
- 교잡에 따른 유전자들간의 연관 관계(linkage)를 조사하고 이를 기초삼아 유전자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지도를 그리게 된다.1950년대에 왓슨(Watson)과 크릭(Crick)이 DNA의 이중나선구조를 밝힌 이후 분자생물학이 급격히 발달함에 따라 실제로 클로닝(cloning)된 DNA 단편을 이용, RFLP 지도를 그릴 수 ... ...
이전4884894904914924934944954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