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목
선정
약속
지시
예정
예약
표시
d라이브러리
"
지정
"(으)로 총 1,028건 검색되었습니다.
동해에서 육지가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412
“이거, 분명히 화강암이잖아!”울릉도 저동 지역에 있는 부석(물에 뜨는 돌)층을 조사하다가 그 안에서 작은 화강암 조각을 발견한 필자는 눈을 의심했다. 울릉도는 ... 발견된 울릉도 석포동이나 죽도 부근은 관광상품으로 개발할 가치도 있으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
할 것을 제안한다 ... ...
플라스마로 중금속 가려낸다
과학동아
l
200410
환경학도인 그의 관심을 사로잡은 것은 수달. 수달은 1968년 천연기념물 제3백30호로
지정
됐지만 현재 하천오염으로 인해 서식지가 크게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국제적으로도 멸종위기종으로 알려져 있다.“알코올램프로 나트륨, 칼슘을 태워보면 저마다 다른 색깔이 나잖아요. 중금속을 ... ...
균열 스스로 진단하는 똑똑한 콘크리트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09
실험실 가운데서 한 학생이 땀을 뻘뻘 흘리며 뭔가를 한창 만드는 중이다. 옆으로 가서 자세히 들여다보니 쇠로 된 통에 들어있는 회색 반죽을 기계로 저으며 섞고 있다.“연구에 사용할 ... 균열 연구에 대한 성과를 인정받아 이곳은 1999년부터 국가
지정
균열제어연구실로
지정
됐다 ... ...
갯벌은 숨쉬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09
입장의 경고문이 나란히 붙어있다. 현지주민과 행정당국간 갈등의 원인은 천연기념물로
지정
된 지역의 대부분이 사유지이기 때문이다. 일행은 착잡한 마음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모래언덕이라지만 땅은 각종 풀들로 덮여 있어 ‘사막’ 이라고 부를 수는 없을 것 같다. 군데군데 아름다운 진분홍 ... ...
전신수영복의 원리
과학동아
l
200409
한다 데이터베이스 처리의 대부분을 하드웨어로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계 내용을
지정
하여 접근할 수 있는 기억장치를 얻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가 제시되고 있다고밀도집적회로(LSI) 기술의 진보로 현재는 상당한 양의 내용을 검색하는 기억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데이터 처리의 목적에 ... ...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
과학동아
l
200409
제28차 세계유산위원회는 북한과 중국에 있는 고구려의 유산을 각각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
했다. 고구려 문화의 우수성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다.하지만 한편으로는 아쉬움이 많다. 고구려 유산의 대부분이 오늘날 중국에 있기 때문이다.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북한 내 고구려 유적은 왕이나 ... ...
03. 물고기 호텔, 바다목장이 양식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08
떠있다. 통영 바다목장의 전체 면적은 20km2. 이 중 4분의 1 정도 면적은 보호수역으로
지정
했다. 보호수역 안에 들어와 물고기를 잡으면 5백만원 이하의 벌금을 물어야 하지만, 보호수역 밖에서는 현재 어민들이 자유롭게 어업을 해 수입을 올리고 있다.해양과학의 집합체통영 바다목장에는 현재 1백4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07
1-4호기가 가동 중에 있고 5호기는 시험가동, 6호기는 건설 중이다. 한편 7-10호기는 부지가
지정
고시돼 있다.여진, 왜 일어나나“여진이 더 무섭다.”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사람들이 하는 말이다. 사실 첫 지진은 갑작스럽게 닥친 일이라 정신이 없기 마련이다. 그러나 큰 지진 뒤에는 거의 ... ...
숲에서 배우는 느림과 비움의 삶
과학동아
l
200407
사라질 것이라고 한다.그래서 한편으로는 가능한 모든 보존활동을 펴면서, 천연기념물로
지정
된 소나무 사진집과 우리가 알아야 할 소나무에 대한 책을 펴냄으로써 더욱 많은 사람들이 소나무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06
우리나라 최동단에 위치한 섬으로 주변에 크고 작은 바위섬이 많이 포진해 있다. 독도의
지정
학적인 특징과 변화가 심한 해상으로 인해 독도의 해산 식물에 대한 연구는 육지 연안이나 제주도에 비해 부진한 편이다. 1960년대 들어서야 독도의 해조류 연구가 학계에 처음 보고 되기 시작했는데, 198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