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목
선정
약속
지시
예정
예약
표시
d라이브러리
"
지정
"(으)로 총 1,028건 검색되었습니다.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11
제기했습니다”.그의 ‘과학적’ 근거제시 덕에 1989년부터 음력설은 3일 연휴로
지정
되면서 민족 최대의 명절로 자리잡았다. 그런데 음력이 다소 불편한 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어서, 춘분(3월 21일)을 1월 1일로 정하는 새 양력, 즉 ‘박성래 달력’을 만들면 이런 문제가 해결된다고 본다.하지만 박 ... ...
물리학이 경락의 실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11
추진중이다.이 연구를 수행하는데 BK21 물리연구단과 산업자원부의 지원과 과기부의 국가
지정
연구실선정이 봉한관 연구에 큰 힘이 되고 있다. 삼성종합기술원의 장비 대여와 협력이 또한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봉환관 속에는 줄기세포가 있다?김봉한 박사는 경락의 실체로서 봉한관을 발견하기만 ... ...
오른손잡이는 시계방향 가마 가져
과학동아
l
200310
유전론에 모순되지 않는다. 아이가 부모로부터 받는 열성 유전자(rr)는 손의 우선권을
지정
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손의 우선권이 서로 다른 일란성 쌍생아가 존재하는 현상도 설명된다. 이 연구결과는 ‘유전학’(Genetics) 9월호에 실렸다 ... ...
2 진품 그림 한장으로 가짜 두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10
미술사학자가 진짜라고 발표하면서 학계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사실이라면 국보로
지정
돼야 할 판이었다.그러나 곧바로 가짜 의문이 제기됐고 한동안 치열한 격론이 벌여졌다. 자세히 보면 신윤복 진품과 그 표현 기법이나 붓의 터치, 여인 얼굴의 표정 등이 전혀 다른데도 당시 구입자측은 ... ...
1 무기여 안녕! 유기전자공학 시대 도래
과학동아
l
200309
유기물은 크기가 수nm에 해당하는 분자로 이뤄져 있다. 이 분자들은 외부에서 일일이
지정
해주지 않아도 스스로 조립해 물질을 만들어낸다. 이와 같은 자기조립(self-assembly) 능력을 활용하면 나노기술의 혁신을 불러올 수 있다. 따라서 유기물은 전자공학이 나노세계로 들어가는데 큰 역할을 할 ... ...
산호 2030년까지 60% 파괴 예상
과학동아
l
200309
깊은 바다 속에서 아름다운 색을 뽐내는 산호가 멸종 위기를 맞았다. 최근 병에 걸리면서 희게 표백된 산호가 많아졌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고 과학자들은 경 ... 조건을 급격히 변화시킬 것”으로 확신했다. 따라서 산호의 생존을 위해 해양보호지역을많이
지정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
강간도 적응인가
과학동아
l
200309
앉아 있다. 방청객은 20명 정도로 모두 초청받은 사람들이다.함께 식사를 마친 패널들이
지정
된 자리에 앉기 시작한다. 토론이 이뤄지는 식탁은 커다란 직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사회자를 중심으로 양 옆쪽에 ‘굴드팀’(G팀)과 ‘도킨스팀’(D팀)이 마주 앉도록 돼 있다.오늘은 첫날이기는 ... ...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
과학동아
l
200309
지정
해줄 것을 요청했다. 관할 지방자치단체인 대구광역시의 행정 협조를 받아 현재
지정
을 눈앞에 둔 상황이다. 또한 올해 봄 문화재청에서는 비슬산을 방문한 후 참꽃군락지도 국가적으로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대구광역시가 이를 위한 행정 절차를 밝고 있는 중이다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09
염기서열에 의해서만 결정된다고 믿었다. 즉 새끼 쥐의 털 색깔이 바뀌려면 털 색을
지정
하는 유전자의 염기서열에 변화가 생겨야만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해 왔다. 하지만 이번 결과는 유전자 서열에 아무 변화가 없어도 어미 쥐의 음식이 달라지면 털 색깔이 달라진다는 점을 밝힌 것이어서 큰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08
생겨난 얼음을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기이함 때문에 얼음골은 1970년 천연기념물로
지정
됐다.얼음골에 대한 이같은 미스터리를 풀고자 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변희룡 교수는 올 3월부터 거의 매주 이곳을 찾았다. 그는 얼음골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과 온도측정을 통해 지금까지 알려진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