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d라이브러리
"
밑
"(으)로 총 1,885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심삼일 탈출하려면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무엇보다 ‘목표의 달성 가능성’이 중요하다. 애초에 달성 가능성이 낮은 목표라면
밑
빠진 독에 물을 붓는 허망한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때에는 일이 잘 되고 있다며 긍정적으로 봐야 자신감을 얻고 결국 적극적으로 노력하게 된다.이와 달리 마무리 단계에서는 끝까지 만전을 ... ...
무중력 자세로 운전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스마트키를 주머니 속에 넣고 트렁크에 다가가면 자동으로 잠금이 해제된다. 뒤 범퍼
밑
으로 발을 넣어 좌우로 움직이면 센서가 발의 움직임을 감지해 트렁크 문을 열어준다. 현재 고급차 모델에 적용돼 있다.인간공학 끝판왕은 나와 자동차의 ‘일체감’1850년 메르세데스 벤츠가 가솔린 엔진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품기에 알맞은 환경을 기억해 놨다가 돌아오는 것이었다. 주로 초원 주변에 있는, 절벽
밑
을 선호했다.절벽을 등지고 있으면 육식공룡이 공격해도 둥지를 지키기가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이었다. 이렇게 여러 세대가 같은 장소에서 같은 교육을 받고 자랐다. 행여나 어미가 사고로 죽어도 남은 ... ...
시속 320km로 내리꽂는 하늘의 지배자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다닌다. 사냥을 하기 전 꽁지깃 아래 기름샘에서 나오는 기름을 온 몸에 바른 뒤, 얕은 물
밑
을 헤엄쳐 다니면서 곤충이나 물고기를 잡아 먹는다. 숨은 쉬지 못하니까 한 번 잠수했을 때 30초 안에 사냥에 성공해야 한다.가마우지 ‘잠수왕’ 가마우지는 방수 깃털까지 포기해 부력을 줄였다. 최대 4 ... ...
LED
밑
에서 잠 못 드는 닭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농가에 최적화했다고 한다. 반응이 좋아 일본으로 수출도 한다. 이제는 닭들이 LED 전구
밑
에서도 편안히 잠들기를기대해본다.빨간 빛에서 달걀 낳고, 노란 빛에서 살 찐다.백열전구를 LED 전구로 교체하는 것은 전기료 절감 이상의 의미가 있다. 닭과 오리 등 가금류는 3종류의 광수용체를 갖고 있어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번식을 시도한 까치 중에서 새끼를 한 마리라도 성공적으로 키운 비율도 평균 40%를
밑
돈다. 까치는 둥지를 짓는 데 평균 한달 남짓이 걸리고, 알을 낳고 품는 데 평균 22일, 알에서 부화한 새끼를 길러 새끼가 둥지를 떠나기까지 평균 35일이 걸린다. 또 새끼가 둥지를 떠난 뒤에도 최소 1개월 가량은 ... ...
지구 반대편에 있는 가족의 뺨을 만지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몸을 담요로 고정시킵니다. 끈을 당신의 가슴 앞으로 교차시키고 다시 아기 엉덩이
밑
으로 둘러 묶으면 됩니다. 자, 보세요. 얼마나 아늑한지.”이런 현상은 따뜻한 엄마 등과 아이의 가슴이 만나는 한국적 육아 방식이 그만큼 아기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방법이라는 방증이 아닐까요. 시각과 ... ...
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른 라이파이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더듬거나 바닥에 있는 점자판을 밟아야 한다. 하지만 라이파이가 활성화되면 조명
밑
을 지나가기만 하면 된다. LED조명이 시각장애인에게 필요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보내기 때문이다. 정보는 손에 든 점자판으로 들어와 글자로 변환되거나 스피커에서 소리로 바뀐다.이밖에도 대형마트에서 ... ...
고압송전탑
밑
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자기장 세기와 비슷하다. 최 소장은 “도로
밑
에 주로 설치하는 지중화 송전선이 주거지
밑
으로 지나가면 더 위험할 수도 있다”면서 “눈에 보이지 않아 방심할 수 있기 때문에 더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더구나 이번에 갈등이 불거진 밀양과 같은 산악지역에서 765kV 고압송전선로를 지중화하는 ... ...
자유탐구 완전 정복, 섭섭박사가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4호
공기보다 더 빨라. 그래서 날개 위쪽은 압력이 낮아지고, 아래쪽은 압력이 높아져 날개의
밑
에서 위로 양력이 작용하는 거야. 이런 양력이 중력보다 더 세어야 물체가 공중에 떠 있을 수 있단다.우리가 타는 비행기 날개도 새의 날개처럼 위쪽은 볼록하고 아래쪽은 평평하다는 사실! 앞으로 비행기를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