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밑"(으)로 총 1,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11화 점차 밝혀지는 10개 방의 비밀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성냥을 켜고 있잖아?”“혹시 이 주변에 성냥 없어? 한번 찾아보자.”피타가 작은 책걸상 밑 서랍장 한 구석에 아무렇게나 놓여 있는 성냥 4개를 찾아냈다.“얼른 켜 보자.”성냥을 켜자 바람도 없는데 작은 불빛이 일렁거리더니 뭔가 희미하게 보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총 40개의 성냥개비로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아는 것은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이런 다양한 활동은 자기 삶에 대해 느끼는 자신감의 밑바탕이 됐다. 최 교수처럼 서울대 교수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당연한 얘기겠지만 공부를 잘해야 한다. 공부를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최 교수의 답은 바로 호기심이 많아야 된다는 것이다. “결국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다양한 표정을 나타내는 건 얼굴 피부 바로 밑에 있는 표정근육 덕분이다. 이런 ‘피부밑근육’은 동물에게는 몸 전체에 있지만, 사람에게는 거의 유일하게 얼굴에만 남아 있다. 표정근육은 얼굴 피부를 움직여 표정을 만드는데, 입꼬리올림근, 입꼬리내당김근, 입둘레근, 윗입술올림근, ... ...
- 바다가 있는 한 조선해양공학은 영원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이처럼 다양한 전공이 있지만, 일단 물 위에서 진행하는 해상 플랜트 분야, 물 밑의 일을 담당하는 해저분야로 크게 나눌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제는 해양플랜트에 도전할 때그동안 이 학과를 거쳐 간 인재들의 노력 덕분일까. 우리나라는 조선 분야에서는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김 ... ...
- 소년이여, 네 멋대로 해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듣고 논문만 남겨둔 상태였다. 갑자기 지도교수가 다른데 연구소로 갔다. 다시 다른 교수 밑에서 논문을 쓰려면 2년을 더 해야 했다. 이 관장은 박사 수료 상태에서 한국으로 돌아왔다. 예전의 기억을 되살려 책을 썼다. ‘해리 포터’라는 책이 세계적으로 대히트를 친 시기라 ‘해리포터 ... ...
- 보석 감정 현장 탐방 진짜 다이아몬드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많아요.알렉산드라이트는 빛에 따라 색이 바뀌는 신기한 보석이에요! 보석을 백열등 밑에서 보면 붉은 색이지만, 태양 빛 아래에서 보면 녹색이 돼요. 산화크롬(Cr O )에 의한 발색원소들이 광원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빛을 흡수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알렉산드라이트 반지를 차고 나가면 ...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입은 형태가 더욱 특이하다. 앞니가 아주 크게 발달해 있다. 높이 쌓인 눈을 치우고 그 밑에 있는 풀을 먹기 때문에 앞니가 크게 진화한 것이다. 천적인 검치호가 달려들 때 막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바다코끼리의 송곳니는 교미기에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다른 수컷과 싸울 때 쓰는 무기다. ... ...
- 학문의 즐거움을 설파한 히로나카 헤이스케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상상해 보자. 그러면 더 이상 특이점이 없는 부드러운 3차원 곡선이 만들어진다.밑에 있는 2차원 세계는 우리가 사는 세계를 상징하는데, 여기에 있는 곡선에는 모순과 문제 덩어리인 특이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우리 세계를 나가서 한 차원 높은 3차원으로 가면, 특이점이 없는 부드러운 곡선이 있다. ... ...
- 수학으로 두는 신의 한 수, 바둑수학동아 l2013년 10호
- 6칸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급격히 세력이 감소한다는 경험적 성질을 반영하기 위해 밑이 e인 지수함수로 정의했다. 함수식은 다음과 같다. 이때 흑돌의 세력 값을 구할 땐 상수 c를 +64로, 백돌의 세력 값을 구할 땐 상수 c를 -64로 둔다. 실제로 오른쪽 그림❷두 세력함수를 이용해 흑돌의 세력을 ... ...
- PART 1 중장비, 도시를 지탱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등 문화재와 가까운 이 구간의 지하철 공사를 TBM으로 하는 이유다. 권 과장은 “발밑에 이렇게 큰 기계가 땅을 파고 있는 줄은 아무도 모를 것”이라며 “TBM 덕분에 단 두 명의 운전자가 터널을 뚫을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원통 둘레를 따라 26개의 작은 실린더가 붙어 있었다. 개당 200t의 힘을 내는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