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언
제의
제안
제사그릇
예기
d라이브러리
"
제기
"(으)로 총 1,62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문화 꽃피운 과학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선덕여왕)이 아주 명민했다고 기록하고 있다.하지만 근대 과학은 이 이야기에 이의를
제기
한다. 선덕여왕의 말이 틀렸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최근 나비가 ‘향기로운 꽃’을 찾는 것이 아니라 ‘아름다운 꽃’을 찾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미국 조지타운대 마사 바이스 박사는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그럼에도 센다이 지진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몇 가지 논란이
제기
되고 있다.[‘불의 고리’ 환태평양 지진대]세계의 모든 해안 지방이 지진해일에 노출될 수 있지만, 거대하고 파괴력 있는 지진해일의 대부분은 태평양과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다. 태평양의 규모가 거대하고 ... ...
구제역 “베트남에서 온 것 아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달리 베트남에서 유입되지 않았고, 경북 안동에서 처음 발생한 것도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
됐다.백도명 서울대 보건대학원장 연구팀은 김선경 보건대 연구원과 공동으로 연구한 결과 “이번 구제역 바이러스는 2010년 1월 우리나라 인천 강화에서 유행했던 구제역 바이러스와 더 닮았다”며 “2010년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아시아로 퍼져나갔다는 가설이 그 동안 정설로 인정받았다.그러나 최근 여기에 반론이
제기
됐다.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호모 속인 ‘호모 조지쿠스’와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호모 속인 자바인(인도네시아 자바에서 발견된 호모 에렉투스)이 18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 ...
연구활동은 꿈을 이루는 과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탐구를 통한 연구활동이 있습니다. 1) 귀납적 탐구를 통한 연구활동 상황 속에서 문제를
제기
하고 이를 여러 가지 관찰 및 실험을 통해 자료를 해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자료들에 내재된 규칙성이나 법칙을 도출하는 탐구과정을 거친 연구활동입니다. 예를 들어, 아침에 TV 보는 상황을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대한민국에 가속기 열풍이 불고 있다. 과학기술 강국으로 거듭나려면 기초과학실험에 필수적인 가속기를 건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으면서 대형 가속기 건 ... 꼭 필요하다. 기초과학기술을 거머쥔 국가가 미래 강대국으로 부상할 거라는 데 이의를
제기
하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 ... ...
Part1. 왜지구 공학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현실적으로 우리의 경제와 생활을 포기하면서까지 감축할 수는 없어요. 지금까지 우리가
제기
한 감축 목표로 간다 해도 2100년쯤에는 평균 기온이 3.9℃나 올라갑니다. 한계를 인정하고 다른 대안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예를 들어 지구공학 말입니다.A국 지구공학? 그게 뭐죠?C국 혹시 냉전시대에 ... ...
[hot science] 얼짱 몸짱 마법의 주사는 없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주입해왔다는 얘기다.최근에는 데옥시콜레이트가 암을 일으킬 수 있다는 위험성까지
제기
되고 있다. 미국 애리조나 의대 카트리나 드보라크 교수팀은 “데옥시콜레이트가 DNA를 손상시키며 유방암 세포를 키우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갸름한 턱선 만드는 ‘쁘띠성형’ 문제없나PPC 시술이 ... ...
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표준적인 실험 절차를 지키지 않아 박테리아에서 뽑아낼 때 DNA가 오염됐을 가능성도
제기
했다. 레드필드 교수는 “박사 과정 학생이 이 데이터를 가지고 왔다면 다시 실험실로 돌려보냈을 것”이라며 연구팀을 혹독하게 비판했다. 그는 “심사위원들을 비난하고 싶지는 않다”며 “왜냐하면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소개돼 있다. 홍 교수는 “세계그래핀학회는 김 교수가 노벨상을 받았어도 이의를
제기
할 사람이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하지만 김 교수가 가임 교수팀과 함께 상을 받기에는 ‘2%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다. 김 교수의 2005년 양자홀 연구가 가임 교수가 개발한 스카치테이프 방법을 써서 얻은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