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언
제의
제안
제사그릇
예기
d라이브러리
"
제기
"(으)로 총 1,62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로호, 137초 장벽에 무너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발생한 기계적 또는 전기적 충격이 1단 액체로켓을 폭발에 이르게 했을 가능성을
제기
할 경우 3차 발사는 거의 불가능해진다. 특히 단 액체로켓의 압력과 내부 온도, 엔진 상태를 살펴볼 수 있는 텔레메트리 데이터는 러시아 측만 접근할 수 있다.국내외 사정도 여의치 않다. 러시아 측은 나로호를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있다”며 “진화론이 진정한 가치를인정받기 위해서는 심각한 왜곡과 극단적인 반론이
제기
될 수 없는 더욱 분명한 근거를 찾아내 상대방을 설득해야 하고 과학이 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최재천 교수는 사회나 경제처럼 진화론이 새롭게 접근하고 있는 분야에 대해 진화 대신 새로운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있다. 보 때문에 수위가 높아져 지하수위가 함께 올라가 주변 지역이 물에 잠길 가능성이
제기
되기도 했다. 금강 공구 취재에 동행한 공주대 환경교육학과 정민걸 교수는 “보가 건설된 상류에서 갈수기에 지하수위가 높아져 안개가 끼고 농작물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 ...
여름 밤하늘로 떠나는 은하수 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힘들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 은하 중심에 진짜 블랙홀이 있는지는 많은 천문학자들이
제기
해온 의문이었다.1970년대 우리 은하 중심부에서 강한 전파원(전파가 관측되는 원천)이 발견돼 이 전파원은 ‘궁수자리 A*’로 명명됐다. 궁수자리 A*는 광학망원경을 들이대도 보이지 않았고 근적외선으로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약간 신경이 쓰인다”고 말했다.한편 개인게놈 정보가 누구의 소유여야 하느냐는 문제가
제기
되기도 했다. 이번 행사의 실무를 맡은 개인게놈프로젝트의 제이슨 보브 박사는 ‘DIY 게노믹스’라는 주제의 짤막한 발표에서 앞으로는 사람들이 자신의 게놈데이터를 갖고 스스로 유용한 정보를 찾는 ... ...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많은 비과학적 의혹을 해소했지만, 과학적 조사가 이뤄지기 전인 천안함 침몰 직후부터
제기
된 어뢰공격설과 일치한다. 민군 합조단에 참여한 민간 전문가가 기자회견에서 밝혔듯이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넣은 ‘수심 6~13m, 폭발물 45~420kg’이라는 조건은 어뢰가 폭발한 상황만을 염두에 ... ...
밀레니엄 문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그리고 1859년 독일의 수학자 리만은 소수가 어떤 규칙에 따라 배열돼 있는지 의문을
제기
했다. 만약 소수의 규칙을 발견한다면 수에 관한 커다란 비밀이 풀릴 것이다.3. 양-밀스 이론과 질량 간극 가설1954년 물리학자 양전닝과 로버트 밀스는 자연의 힘을 설명하는 방정식을 만들었다. 이 방정식으로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모을 수 있다면 인류가 1년 동안 쓰는 에너지를 충당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
제기
하는 태양전지의 발전 속도가 너무 느리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얇은 필름에 기능성 잉크를 인쇄한 태양전지가 상용화되면 새로운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단기간에 상용화될 가능성에 ... ...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건 아니지만 앞에 분들이 워낙 강경하셔서 저도 어쩔 수 없군요.”5명의 후보들이 이의를
제기
하는군요. 그럼 조르당 씨의 제안처럼 수학자가 낸 미로의 길을 찾아 보는 것은 어떨까요?미로하면 역시 길 찾기 아니겠습니까? 이걸로 심사위원들의 실력도 검증할 수 있을 것 같은데.모두들 동의하시는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비롯해 살모넬라나 대장균의 일종인 O-157이 철새를 통해 전염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
되면서 각국은 비상이 걸렸다. 국내에서도 2005년 전 세계에 AI 바이러스가 확산돼 철새를 통한 전염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철새 연구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했다. 국내에서는 약 1200마리를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