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기
파악
쥐기
d라이브러리
"
포착
"(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에이즈와 싸우는 바이러스 총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이루는 N단백질과 RNA 사슬이 바깥쪽으로 27°으로 기울어진 채 나선으로 감긴다는 사실을
포착
했다. 그 바깥에는 또 다른 M단백질이 함께 감겨 바이러스를 더 단단하게 유지한다.전문가들은 VSV를 변형하면 건강한 세포를 건드리지 않고 암세포만 골라 없애는 항암제나 에이즈 예방 백신으로 사용할 수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기구와 결합해 의료영상 기법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떨고 있는 적혈구
포착
형광현미경과 2광자흡수 현미경은 모두‘공초점' 방식이다. 공초점이란 시료로부터 반사되거나 방출된 빛이 여러 개의 광학 소자를 통과해 검출기에 도달하면 검출기 앞에 있는 조리개가 초점이 맞은 상만을 ... ...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없다. 이에 대비해 레이더로 추적하는 방법이 있다. 레이더의 경우 날씨가 나빠도 위성을
포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탐지거리가 짧아 고도 3만 6000km 이상 떨어져 있는 정지궤도를 추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가격만 수천억 원을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군은 장기적으로 ... ...
문어도 도구를 사용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코코넛 껍데기를 들고 다니며 도구로 쓰는 모습이 처음으로
포착
됐다. 무척추동물인 문어가 도구를 사용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호주 빅토리아박물관 줄리안 핀 박사 연구팀은 최근 인도네시아 발리 섬과 술라웨시 섬의 북쪽 바다 속에 사는 핏줄문어(Amphioctopus marginatus)가 코코넛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반도 상공을 지나는 인공위성을 감시하게 된다. 전파가 물체에 맞고 되돌아오는 신호를
포착
하는 레이더 방식 과 달리 눈으로 직접 위성을 보는 방식이다.또 공군은 우주기상 예보 체계와 위성레이저추적 (SLR) 시스템, 레이더 우주감시 체계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태양이 폭발할 때 ... ...
밤에 더 빛나는 구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NASA)은 최근 ‘중간권 얼음현상 대기물리학(AIM)’위성이
포착
한 야광운(夜光雲) 사진을 공개했다. 야광운은 극지방과 노르웨이, 알래스카 같은 고위도 지방의 밤하늘 80km 상공에서 빛을 발하는 구름을 말한다. 지구에서 가장 높이 떠 있어 해가 진 뒤에도 햇빛을 계속 반사한다. 그래서 깜깜한 밤에도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분배된다. 코리아앳홈 플랫폼 사용자들이 보유한 PC의 여유 공간을 활용해서 전파신호를
포착
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그 결과는 코리아앳홈 서버에 보고된다.주기 짧은 인공전파 찾는다세티 코리아의 특징은 또 있다. 세티앳홈과 같은 기존 세티 프로젝트에서는 전파의 주파수 채널을 아주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발견할 수 없었을 것처럼 세티 연구자들은 아직 할 일이 많다는 얘기다. # 외계신호
포착
되면‘종교 논쟁’가능성세티는 기본적으로 우주에 관한 연구다. 하지만 아폴로 계획처럼 ‘정복’을 테마로 삼지 않는다. 세티는 ‘관찰’을 고수한다. 현재 각국이 추진하는 우주계획이 자원 전쟁의 ... ...
마하 15 극초음속 시대를 열어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등에 이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과거에는 비행 고도를 낮게 해 상대의 레이더에
포착
되지 않는 저고도 아음속 유도탄이 효과적이었으나 인공위성 같은 추적 시스템의 성능이 좋아지면서 현재는 가능한 한 신속하게 목표점에 도달하는 것을 선호해 램제트와 스크램제트 엔진이 제격이라고 한다 ... ...
밤하늘은 왜 어둡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나온 빛을 발하는 천체입니다. 워낙 빛이 밝아 130억 광년이나 떨어졌는데도 실체가
포착
됐죠.” 2005년 국내에서 처음 퀘이사를 발견한 임 교수는 최근 110억~130억 광년 떨어진 퀘이사 속 블랙홀의 질량을 계산했는데, 태양 질량의 10억~30억 배에 이르는 걸로 확인됐다.보통 블랙홀이라면 태양보다 30배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