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기
파악
쥐기
d라이브러리
"
포착
"(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지 스무트 이화여대 석좌교수 인터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이용해 개발할 이 위성은 우주 최대 폭발로 알려져 있는 감마선 폭발의 초기 순간을
포착
할 계획이다. 창의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박일흥 교수는 “UFFO 프로젝트는 IEU를 비롯해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의 스무트 교수팀, 같은 대학의 우주과학연구소 스티븐 보그 교수팀, NASA 에임스연구센터와 함께 진행 ... ...
제26회 기상사진전 수상작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같은 여름날 저녁. 사진을 찍은 인경호 씨는 거대한 번개가 내리치는 순간을 가지 끝까지
포착
해 그야말로 ‘번개를 잡았다’.우수상덕유산의 브로켄유지훈 (2008년 8월 24일)브로켄은 안개 낀 산에서 태양을 등지고 섰을 때 맞은편 안개에서 자신의 그림자와 함께 그 주변에 무지개가 보이는 ... ...
[천문우주]
포착
! 4개의 위성이 토성을 가리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위성 4개가 나란히 토성 앞을 지나가는 모습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에
포착
됐다. 4개의 위성이 토성을 가리는 광경을 찍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광경은 허블 광각 행성 카메라 2로 촬영한 12억 5000만km 떨어진 ‘토성 패밀리’의 모습이다.토성은 적도 부근에 원반 모양의 ... ...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행성의 질량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별빛가림 현상이
포착
된 후보별은 시선속도 방법으로 추가 관측해 질량을 확인한 뒤에야 그 별 주위를 돌고 있는 천체가 외계행성인지 갈색왜성인지 구분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별이냐 행성이냐는 질량과 생성 과정에 따라 판단한다. ... ...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일어나는 현상을
포착
하려면 넓은 영역을 감시하다가 현상이 발생하는 곳을 재빨리
포착
해 확대할 수 있어야 한다. 갑자기 ‘뻥’ 터지는 큰 소리가 들렸을 때 무의식적으로 빠르게 눈을 돌리는 일과 같다. INTERVIEW - 우연히 접한 마이크로 거울로 섬광 잡는 망원경 만들어박일흥 교수가 MEMS 망원경을 ... ...
[천문우주]화성은 살아있다! 메탄 발견으로 드러나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마스 익스프레스’가 화성에서 메탄을 발견한 적이 있지만 이번처럼 규칙적인 방출은
포착
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화성에서 여름을 맞아 기온이 올라갈 때 협곡이나 급경사면에 있는 구멍을 막고 있던 얼음이 녹으며 지하에 묻혀 있던 메탄이 솟아오른다고 설명했다.우주생물학자들은 지구의 ... ...
우주 나이 밝힌 허블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가장자리에 있는 천체를 관측했고, 신기루와 같은 아인슈타인 고리나 중력렌즈 현상도
포착
했다. 특히 달 크기의 10분의 1도 안 되는 좁은 하늘을 관측해 빅뱅 후 막 태어난 원시 은하부터 성년 은하에 이르기까지 수만 개의 은하로 꽉 차 있는 우주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여줬다.가장 중요한 ... ...
녹차밭의 곡선미와 부산항의 역동성 공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4000억 달러가 그냥 이뤄진 것이 아님을 실감케 한다. 컨테이너항의 역동성을 완벽하게
포착
한 한 장의 사진이 경기 침체로 움츠러든 사람들에게 힘내라는 격려의 목소리를 소리 높여 외치고 있다.“이 장관을 한 번 보세요. 멋지지 않습니까?”강석기 기자 sukki@donga.com1. 수출 한국의 1번지 부산항, ... ...
펨토초 레이저로 시시각각 변하는 단백질 찍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주변 특이한 분자의 삶을 소개하는 ‘순간
포착
! 분자 세상에 이런 일이’ 팀에 한 과학자의 제보가 들어왔다. 뇌에 아밀로이드라고 하는 단백질이 사는데, 시시각각 모양을 바꾸는 ‘변신의 달인’이라는 것. 제보자는 대뇌의 죽은 신경세포 근처에 가면 이 단백질을 만날 수 있다고 귀띔해줬다 ... ...
별의 전령사, 갈릴레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게 흠이다. 20배율 망원경으로는 달이 절반쯤밖에 안 보이고, 목성을 찾는 일은 물론 계속
포착
하기도 힘들다. 그는 관측자의 호흡과 맥박 때문에 흔들리는 것을 막기 위해 안정된 장소에 망원경을 고정시키고 렌즈를 헝겊으로 깨끗하게 닦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마분지로 대물렌즈 둘레를 가려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