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산타클로스와 순록 배달팀을 소개합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때 약 2시간 반이 걸린다는 걸 생각하면 어마어마한 속도지요. 비행기의 속도는 시속* 900km예요.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산타는 한 집 당 0.0003초만에 선물을 배달할 정도로 빠르게 이동한답니다. (*시속: 어떤 물체가 1시간 동안 움직이는 거리를 시속이라고 해요. 일정한 시간 동안 얼마나 빠르게 ... ...
- [특집] 지구가 부글부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폭염이 계속됐다. 7월 1일부터 25일까지 서울의 폭염 일수는 9.0일로 8.7일인 평년(1991∼2020년 여름) 보다 많았다. 아직 여름철이 한 달여 더 남은 점을 고려하면 올해 여름철 폭염일수는 평년치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밤 기온이 25℃를 넘는 열대야도 서울을 기준으로 작년보다 23일이나 빨리 ... ...
- [그래프 뉴스] 고래밥, 생각보다 많이 먹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고래는 주로 작은 물고기, 오징어, 크릴 등을 먹지요.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연구팀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대서양, 태평양, 남대양 등 여러 바다에 사는 고래 321마리를 관찰했어요. 고래가 먹이를 얼마나 먹는지, 무엇을 먹는지 알기 위해서였지요. 연구 결과 대왕고래는 하루에 먹이를 16t*이나 먹는 ... ...
- [특집] 골칫거리 눈? 불가사리로 해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5호
- 염화이온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효과가 가장 컸어요. 예를 들어, 전체 제설제의 양이 100g이라면 불가사리 가루를 3g 정도 넣는 거예요.●“쓰레기로 환경을 구하는 세상을 만들어요!”_양승찬 스타스테크 대표저는 군대에서 제설제 때문에 망가진 도로를 복구하면서 제설제의 문제점에 대해 ... ...
- 지사탐의 시작은 우리 동네 탐사부터 매달 30일엔 박쥐 탐사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박쥐는 특정 장소에서 원을 그리며 날면서 먹이 또는 구애 활동을 하지요. 그래서 매달 30일을 박쥐 탐사일로 정했답니다~! 질문4박쥐 탐사를 통해 어떤 탐사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도시에서 박쥐가 활동하는 장소를 많이 발견하길 바랍니다. 최근 도시 재개발과 하천 정비 사업 등으로 박쥐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소행성 B612의 화려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사드 교수는 “좌석을 바꾸고 문을 열어두는 것만으로도 바이러스 감염 확률을 최대 100배까지 낮출 수 있다”고 연구 결과를 설명했어요. 이 연구를 의뢰했던 오케스트라 ‘유타 심포니’의 대표인 스티븐 브로스비크는 “연구 결과에 따라 자리를 옮기고 익숙해지는 데에는 시간이 필요했지만,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액체나 고체 입자는 지름이 보통 0.01~100㎛(마이크로미터)예요. 1㎛는 1mm보다 1000배 작은 크기죠. 입자가 크면 지구가 잡아당기는 중력 때문에 아래로 떨어져 에어로졸 상태를 유지하지 못해요.입자가 매우 작은 에어로졸은 보통 4일에서 일주일 정도 대기에 남아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어요. 대기에 ...
- [특집] 눈은 어떤 모습으로 내려갈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5호
- 잘 뭉쳐지지 않는 건조한 가루 모양의 눈이에요. 상층대기의 온도가 영하 20°C보다 낮고 습기가 적은 날에 만들어져요. 가루눈은 함박눈과 달리 바늘이나 기둥 모양의 눈 결정으로 이뤄진 경우가 많아요. 눈 결정에 곁가지가 없어 서로 엉겨 붙기 어렵지요. 또한 건조한 날에 생기기 때문에 눈 속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코딩 친구 '에이전트'로 편하게 게임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따라 에이전트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코드를 작성하세요. 이 코드는 랜덤값이 ‘0’이면 에이전트가 왼쪽으로 회전하고 ‘1’이면 오른쪽으로 회전한다는 뜻으로, 에이전트가 무작위로 회전하게 해요.➌ 에이전트가 회전하고 나면 랜덤값만큼 앞으로 이동하며 채굴을 하도록 코드를 ... ...
- [특집] 점이 만든 새로운 차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구분할 때 ‘차원’이라는 이름을 사용해요. 작고 작은 마을처럼 점 혼자 있는 세계를 ‘0차원’이라고 하지요. 점과 점이 만나 선이 생긴 세계를 ‘1차원’, 더 많은 점이 모여 면을 이뤘지만 아직 납작한 세계를 ‘2차원’이라고 불러요. 지금 우리가 사는 세계는 면과 면이 만나 입체로 우뚝 솟은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