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1974년 6월 26일 삐빅! 첫 번째 바코드 찍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만들고 정보를 담을지 표준도 정해야 했죠.결국, 첫 번째 바코드는 특허를 받은 후 20년도 넘게 지난 1974년 6월 26일 오전 8시, 미국 오하이오주의 작은 마을인 트로이의 한 슈퍼마켓에서 처음 찍혔습니다. 전날 밤 슈퍼마켓 직원들이 매장에 있는 수천 개의 품목에 바코드를 붙였고, 바코드를 읽을 ... ...
- [특집] 악마의 소수를 외쳐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개의 숫자를 이미 알고 있네!”연우도 말했지요.“그럼 1 뒤로 0이 13개, 6이 3개, 다시 0이 13개, 그리고 1을 쓰면···.”예나는 차근차근 서른한 개의 빈칸을 채워나갔어요.“1000000000000066600000000000001!”셋이 동시에 소리치자 어디선가 푸슈욱 하고 풍선에서 바람 빠지는 ...
- [과학뉴스] 코로나19 먹어서 치료하는 시대 오나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입원율은 7%, 사망자는 7명이었다.정부는 11월 8일 중앙방역대책본부 브리핑에서 “40만 4000명분의 경구용 치료제 확보를 결정했고, 내년 2월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 [SF소설] 대합창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알아냈지만, 사실 10년 전에 외계행성에서 보낸 신호가 지금 포착된 것도 있고, 100년 전, 200년 전에 보낸 신호가 몇 년 전에 포착돼서 컴퓨터에 저장돼 있던 걸 지금 분석해서 알아낸 것도 있어. 그러니까 시간 차이가 좀 나기는 나는데, 하여튼 요즘 최근 몇 백 년 사이에 은하계의 여러 종족들이 ... ...
- [기획] 삐용삐용~ 시상식에서 사건 발생! 알쏭달쏭 폴리매스 미궁 시상식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문제가 담길 예정이라 더 의미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문제 부문의 수상자는 주희진(이리0) 회원, 완성형 부문은 김래윤(K-RIEMANN) 회원입니다. 평소 미궁 게임과 방탈출을 자주 즐겨요. 그러다 보니 여러 재밌는 문제를 많이 접했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있었습니다. 주변의 사물이나 알고 ... ...
- [과학뉴스] 중국발 요소수 공급부족 사태, 진정 국면 들어서나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국가에서도 물량을 확보했다. 이에 13일에는 화물차 6만 대분의 요소수 180만 L가 전국 100개 주유소에 공급되며 사태는 조금씩 진정되고 있다. 김법정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11일 브리핑에서 “중국과 제3국을 통해 들어온 물량을 종합하면 올해 말까지 요소수가 크게 부족한 상황은 ... ...
- [수학체험실] 2시 24분 밖에 모르는 정오각형 시계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있다. x분이 흐르면 분침은 6x°에 있고, 시침은 30n° 에 1분에 0.5°를 더 회전하므로 (30n+0.5x)°에 있다. 여기서 시침과 분침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72°가 되는 상황은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분침의 각도에서 시침의 각도를 뺐을 때 72°가 되는 상황, 시침의 각도에서 분침의 각도를 뺐 ...
- [이슈] 수학으로 찰칵찰칵! 엘사와 우디 얼굴로 바뀌는 비결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눈을 찾는다고 생각해 볼까요? 눈 부분을 숫자로 나타내면 눈동자가 있는 가운데는 0, 20처럼 비교적 작은 숫자고, 흰자위 부분인 그 주변은 140, 160 같은 큰 숫자로 둘러싸여 있을 거예요. 컴퓨터는 사진을 숫자로 나타낸 값을 쭉 살펴보며 이런 부분을 찾아요. 그리고 이 영역을 ‘눈’이라고 ... ...
- [그래프 뉴스] 가상현실(VR)로 주사의 아픔은 안녕~!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아프면 10점으로 점수를 매겼지요. 또 불안을 느끼지 않았으면 0점, 매우 불안했다면 10점을 매겼어요. 그 결과 가상현실 게임을 했던 환자들은 아픔에 대한 평균 점수가 1.34점이었고, 게임을 하지 않은 환자의 평균 점수는 2.54점이었어요. 불안감에 대한 평균 점수는 가상현실 게임을 한 환자들이 1.8 ... ...
- 역사가 된 실패, 과학자의 망한 연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발견했다. 특정 조건에서 아인슈타인의 수식을 0으로 나눠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 것이다. 0으로는 그 어떤 수식도 나눌 수 없다는 것은 당시에도 아주 기초적인 상식이었다. 그리고 이 내용을 담은 논문을 1922년 발표했다.프리드만은 아인슈타인 논문의 모순을 지적하며, 우주는 아인슈타인의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