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스틱과의 공존을 꿈꾸는 젊은 기업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서동은 리플라 대표 │재활용 공장 사람들이 행복했으면 좋겠다는 꿈 ▲서동은 리플라 대표(왼쪽 7번째)는 고등학교 3학년 때부터 6년째 플라스틱 폐기물의 순도를 높이는 연구를 하고 ... 한다. 이렇게 고용된 오션솔의 직원은 약 9
0
명, 한 해에 수거된 플립플롭 폐기물은 4만 7
000
kg이다 ... ...
[이달의 책] 인공지능과 공존하고 싶은 인간을 위한 지침서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모든걸 ‘의지 부족’으로 치부하기에는 더 복잡한 문제가 숨겨져 있는 듯하다.2
0
년 이상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병원에 근무 중인 저자는 ‘우리는 왜 항상 식욕과의 싸움에서 패배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수없이 많은 비만 환자들을 만났다. 그중에는 식욕 억제가 힘들어 위 ... ...
[4컷 만화] 최소한의 유전자로 산다! 미니멀 인공생명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만든다는 것에 주목했어요.76개의 유전자 중 일부를 없애보며 실험한 결과, JCVI-syn3.
0
에 7개의 유전자를 추가한 인공생명체가 정상적으로 세포분열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스트찰스키 박사는 “7개의 유전자 중 2개는 세포분열에 연관이 있지만, 5개는 아직 어떤 기능을 하는지 모른다”며 ... ...
[매스미디어] 정글크루즈 치유의 꽃잎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하다. 과연 프랭크와 릴리 박사 남매는 치유의 꽃잎을 무사히 손에 넣었을까? 4
00
여년의 저주를 끊고 다시 활동을 시작한 아귀레 일당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그들의 노력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오늘의 수학 탐험은 열린 결말을 남기고 여기서 마친다. “물을 돌로 바꿔서 상처받은 마음을 ... ...
[한페이지 뉴스] 돌도 씹어먹는 1
0
대를 앞서는 건생후 12개월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0
.7% 수준으로 근육량이 감소하며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수준이었다. 신진대사는 6
0
대 이후에서야 둔화되기 시작했다.허먼 폰처 미국 듀크대 진화인류학과 교수는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신진대사의 변화 패턴은 사춘기, 임신, 폐경 등 우리가 생각하는 전형적인 몸의 변화와 일치하지 않다는 것이 ... ...
[한페이지 뉴스] 블랙홀 뒤에서 새어 나온 빛 관찰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추가로 관측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7월 28일자에 발표했다. doi: 1
0
.1
0
38/s41586-
0
21-
0
3667-
0
연구팀은 각 플레어의 광자를 분석했다. 블랙홀 내에서는 중력에 의해 빛의 진동수가 달라지는 중력적색편이가 일어난다. 광자가 방출된 위치에 따라 경험하는 중력적색편이 값이 달라지기 ...
[기획] 스케이트 보딩, 에너지를 창조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있을 땐 속력이
0
이기 때문에 오로지 위치에너지만 존재합니다. 또 최저점에서는 높이가
0
m이므로 운동에너지만 존재합니다. 염동한 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는 “실제로 저항에 의해 에너지가 소실된다”며 “선수가 더 많은 회전을 필요로 하는 기술을 선보이고 싶다면 직접 발로 땅을 밀어 자신이 ... ...
1.5℃ 온난화 2
0
년 이내 도달...피할 길 더 좁아졌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빈번하고 심각하게 만들었다는 데 논란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파리협정 체결 이후 13
0
여 개국이 앞다퉈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 몰두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지난해 12월 2
0
5
0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기후변화에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하지만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 ...
탄소중립 달성, 눈속임 넘어 실질 감축 이뤄야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설치하는 이산화탄소 측정기도 값이 만만치 않다. 이산화탄소 측정기 한 대당 15
00
만~1억 원을 훌쩍 넘는다.그러나 국제적인 대응을 위해서라도 정확한 측정 기술을 확보하는 게 충분히 가치가 있다는 게 정 교수의 주장이다. 정 교수는 “2
0
18년 노르웨이 과학기술대 연구팀이 전 세계에서 탄소 ... ...
“하루 만에 몸에 퍼진 미세플라스틱 눈으로 확인했죠”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임 연구원은
0
.2~
0
.3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
00
만 분의 1m) 크기의 폴리스타이렌 미세플라스틱에 방사성동위원소인 구리-64를 부착했다. 희귀한 동위원소를 이용하고 아무도 시도해보지 않은 방법으로 진행된 만큼 연구는 매 순간이 난관이었다. 임 연구원은 “연구를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