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나노"(으)로 총 6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패해도 괜찮아" 격려에 세상 바꿀 아이디어 22개 우르르 동아사이언스 l2019.11.29
- 도전했다. 웨어러블 컴퓨터 프로토타입 개발에 가장 많이 쓰이는 칩인 ‘아두이노 나노’를 이용해 프로토타입을 설계 및 제작하려 했으나 예상보다 큰 크기와 동작 전압이 당초 설계와 맞지 않아 실패했다. 하지만 이후 미니RC카에 사용하는 칩을 이용해 옷 위를 기어오르는 방식의 프로토타입까지 ... ...
- 암세포만 골라 공격하는 '다기능 나노로봇'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11.26
- 최은표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연구부장(전남대 기계공학부 교수, 뒤에서 가운데) 연구팀은 고형암을 진단하는 동시에 치료도 가능한 다기능성 의료용 나노로봇 ... 교수, 송지환 한밭대 기계공학부 교수가 함께한 이번 연구결과는 이달 6일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에 실렸다 ... ...
- [과학게시판] 2019 나노융합성과전 外동아사이언스 l2019.11.22
- 센터장이 산업부 장관표창을, 이창현 단국대 교수, 김태형 중앙대 교수, 김태연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선임연구원이 과기정통부 장관표창을 수상했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22일 오후 1시 서울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2019 미래유망기술세미나’를 개최한다. 이 행사는 미래를 ... ...
- NASA, 스페이스X·블루오리진 손잡고 달 향한다…파트너십 체결연합뉴스 l2019.11.20
- 세레스 로보틱스는 중간 크기의 달 착륙선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티박 나노 새틀라이트는 초소형 달 착륙선에 특화한 업체다. 토머스 저버킨 NASA 사이언스미션 담당 부국장은 "이번 파트너십은 달에 최대한 빨리 도달할 수 있게끔 민간 부문의 혁신을 이용하는 것"이라며 "달 표면 연구에 ... ...
- 전도성 고분자로 투명전극 제조 길 연다동아사이언스 l2019.11.08
- 접고, 늘어났다 줄어드는 극한 환경을 이겨야 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남지역본부 나노·광융합기술그룹 윤창훈 수석연구원이 투명전극용 차세대 소재를 개발하며 도전장을 냈다. 윤 수석연구원과 부경대 등 공동연구팀은 기존 화학적 처리법 대신 세계 최초로 물리적 처리법을 적용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확률컴퓨터는 양자컴퓨터 짝퉁일까2019.11.05
- 들고 있다. 먼저 기존 M램을 만드는 과정을 약간 바꾸면 되므로 피비트 수를 늘린 나노자석 칩을 만들기가 상대적으로 쉬울 것이다. 반면 양자컴퓨터의 칩은 큐비트 수를 늘리기가 꽤 어려울 것이다. 다음으로 양자컴퓨터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양자 교란을 막기 위해 절대 0도(-273.15℃)에 가까운 ... ...
- 윤종용 전 부회장 "48년 월급쟁이 생활서 얻은 결론은 호기심이 많은 사람이 뛰어난 사람”동아사이언스 l2019.10.17
- 대해서 부정적"이라고 밝혔다. 윤 전 부회장은 “지금 4차 산업혁명의 기술로 지목되는 나노, 바이오, 인공지능 등은 3차 산업혁명의 연장 선상에서 일어나는 기술혁신이지 산업혁명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전 부회장은 "미래는 예측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확실한 건 ... ...
- 전도성 고분자로 플렉서블 투명전극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9.10.16
- 높이려면 PSS를 최대한 녹여 PEDOT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 PSS를 녹인 용액에 1064나노미터 파장의 적외선 레이저를 쏘면 PEDOT이 열을 먼저 흡수해 온도가 올라가고 이 때 둘러싼 PSS가 전선 피복이 녹는 것처럼 PEDOT이 다량 노출돼 전도도가 높아지는 원리다. 전도성 고분자와 적외선 레이저로 ... ...
- 박수만 쳐야하는 ‘노벨상 시즌’ 돌아왔네동아사이언스 l2019.10.07
- 국립유대인연구센터의 존 캐플러 교수 및 필리파 매랙 교수가 권위자다. 물리학에서는 나노(10억분의 1)와 양자처럼 아주 작은 세계의 비밀을 밝힌 연구가 주요 수상 후보로 점쳐지고 있다. 현존하는 최고 슈퍼컴퓨터보다도 뛰어난 양자 컴퓨터공학, 혁명적인 차세대 물질로 손꼽히는 그래핀처럼 ... ...
- 한 걸음 떼는 동안 열 걸음 도망간 일본 "韓日 기술격차 더 커져"동아사이언스 l2019.10.02
- 다시 드러났다. 반면 한국은 같은 기간 전체 기술 수준은 3.3%p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나노 및 소재 분야는 0.9%p 향상되는 데 그쳐 소재 부품 부문 성과가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은 이 같은 격차가 정부의 소재 부품 분야 연구개발 홀대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